콘텐츠목차

맥도 나루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60
한자 麥島-
영어의미역 Maekdo Ferr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희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나루터
관련문헌 『김해읍지(金海邑誌)』|『증보 김해 지리지(增補金海地理誌)』
비정 지역 맥도 나루터 소재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던 나루터.

[명칭 유래]

맥도(麥島)는 땅 모양이 보리처럼 생긴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이곳에 낙동강 제방[대저 제방이라고도 함]을 쌓기 전에는 농업용수가 없고 바닷물이 논밭에 스며들어 벼농사를 조금밖에 못하고 보리[麥]를 주곡으로 할 수밖에 없는 지역이라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또한 맥(麥)이 갯벌의 펄을 뜻한다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맥도 나루터맥도리의 자연 마을인 작지 마을에서 낙동강 본류를 건너 지금의 사상구 감전동에 이르는 나루터였다. 작지 마을이나 대저 마을 등에서 사람이 살았던 흔적은 20세기 초로 추정된다. 따라서 맥도 나루터는 오늘날같이 낙동강에 다리가 만들어지기 이전까지 강서구 대저동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부산 쪽으로 이동하는 주 교통로였다. 구포 다리가 생긴 뒤에도 오래도록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1970년대 낙동강 제방을 따라 부산~진해 간 국도 제2호선이 포장되면서 자연적으로 폐쇄되었다. 지금은 낙동강강서구사상구, 북구 방면으로 여러 개의 다리가 놓이고 지하철도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맥도 나루터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작지 마을에 있었다.

[관련 기록]

『증보 김해 지리지』[김해문화원, 1996]와 『김해읍지(金海邑誌)』[1929]에 관련 기록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