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37
영어의미역 Termina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희열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항공, 열차, 버스 노선 등의 시·종착지.

[개설]

부산광역시는 한반도 동남단에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 설비를 갖춘 항구 도시이자 철도, 고속 도로, 일반 국도 등 육상 교통의 기종점으로서 육상 교통과 해상 교통의 결절점이다.

[버스 터미널]

부산광역시의 터미널 시설은 고속·시외버스를 담당하는 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과 영호남 방면의 시외버스를 담당하는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로 이원화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해운대 임시 시외버스 정류장이 운영되고 있다. 동래에는 해운대 시외버스 정류장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에서 서부산 지역으로 이동하는 시외버스의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1. 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

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자리하고 있어 노포동 터미널, 고속 터미널, 동부 터미널, 노포동 시외버스 터미널, 노포동 고속버스 터미널 등으로 불려 지기도 한다. 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은 지상 3층 건물과 버스 승하차장 및 차고지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를 기종점으로 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경기도, 인천 국제 공항,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방향의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2.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소재하고 있으며, 사상 터미널로도 불린다.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에는 터미널 시설인 본관 A동과 함께 상업 시설인 본관 B동과 별관이 있다. 터미널에서 운행되는 노선은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방면 시외버스와 전라남·북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이다. 또한 인천광역시와 서울, 광주광역시와 여수 등지로 고속버스도 운행한다.

3. 해운대 시외버스 정류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로, 해운대 해수욕장과 바로 연결되어 편리하다. 터미널 주변의 발전으로 용지가 축소되며 현재는 수도권 터미널과 경남권 터미널로 나누어져 있다. 구 동해 남부선의 해운대역 앞 터미널은 울산·경남 권역 노선이 운행되고,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앞의 신설 수도권 방면 노선이 운행된다.

[항만 여객 터미널]

항만 여객 터미널은 국제 여객 터미널과 연안 여객 터미널, 그리고 중국과 일본 지역을 크루즈로 여행할 수 있는 국제 크루즈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1. 국제 여객 터미널

국제 여객 터미널은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06(초량동 45-39) 북항 재개발사업 부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2012년 10월 착공하여 2015년 1월에 준공하여 개장하였다. 연면적 9만 3000㎡에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국제여객터미널동과 게이트, 보세화물창고, 면세품인도장 등을 갖추고 있다. 10만t급 크루즈선박이 접안하는 1선석을 비롯해 2만t급 국제여객선 5선석, 500t급 8선석 등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2. 국제 크루즈 터미널

국제 크루즈 터미널은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17 (동삼동 1125)에 있으며, 2007년 4월 2일 준공되었다. 설계기준으로 8만 G/T 1척이며 대지는 2만 6,840㎡, 건물 연면적은 2,212㎡이다. 크루즈선의 대행화로 전 세계적으로 운항 중인 최대 규모 크루즈선(22만G/T급)이 접안할 수 있도록 부두의 폭을 30m→ 45m로, 선석 길이도 360m→ 440m로 확장하고, 적정 수심(11.5m)을 확보하기 위해 8만 3,000㎥ 규모의 준설 공사를 2016년 11월 착공하여 2018년 8월 준공하여 개장예정에 있다.

3. 연안 여객 터미널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5가 15-1번지에 있어 국제 여객 터미널과 함께 1978년에 인접해 완공되었다. 설계 기준은 6,000톤 선박 1척과 4,000톤 선박 1척, 2,000톤 선박 1척과 500톤 선박 7척이며, 대지는 3만 9,740㎡, 건물 연면적은 1,650㎡이다.

화물 물동량이 증가하는 반면에 부산의 항만 여객 터미널은 부산~제주 간 저가 항공이 취항하며 제주~부산 간 카페리호의 수요가 감소하는 등으로 인해 여객 물동량이 2009년 기준으로 180% 감소하고, 이후 거가 대교가 완공되며 경상남도 남해안과 목포 등으로 향하던 연안 여객 수요도 감소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 한일 간을 연결하는 국제 여객과 크루즈선의 정박으로 여객 수송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항 터미널]

김해 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에 위치한 국제 공항으로 수영 비행장[현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 2동재송동 일대]의 시설 부족으로 1976년 8월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며 김해 국제 공항이 되었다.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창원, 진해, 울산, 사천 등 경상남도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관문 공항[Gateway Airport]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개의 주 활주로와 여객 터미널[8만 7,947㎡], 화물 터미널[2만 8,024㎡]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제선 청사와 국내선 청사로 나누어져 있다. 2009년을 기준으로 시설은 연 20만 회, 여객 1,732만 명, 화물 34만 8,000톤, 동시 주차 3,950대를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이다. 국제선은 일본, 중국, 필리핀, 태국, 홍콩, 베트남, 미국, 대만, 독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등이 있으며, 이 중 주 노선은 중국과 일본, 동남아 지역이다. 국제 항공 뿐 아니라 김포, 인천, 제주, 청주 간의 국내 여객도 편성되어 있다.

[철도 터미널]

부산광역시에는 우리나라 내의 주요 간선 철도인 동해 남부선경부선, 여객 수송 전담의 경부 고속선의 종착지인 터미널이 자리하고 있다. 동해 남부선경부선으로 이동한 화물은 우암선이나 가야선, 부전선 등 신선대 부두나 부산항 등지로 연결되는 노선과 주간선철도를 연결하는 노선이 있어 화물이 집산하고 분류되는 중요한 터미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 부산역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위치한 경부선경부 고속선[KTX]의 종착역으로, 경부선이 준공 후 임시 역사를 운영하다가, 1910년 3월 30일에 준공되었다. 현재의 부산역은 1953년 대화재로 역사가 전소되며 신축 이전한 역사이다. 현재 역사의 대지 면적과 연면적은 각각 21만 4365.71㎡[증축 2,829.71㎡]와 6만 1483.93㎡[증축 1만 8477.30㎡]이고, KTX·새마을호·무궁화호 등이 운행된다.

2. 부전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역사로 동해 남부선 열차 시·종착역이며, 경전선의 시·종착역이고 부전선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현재는 여객 전담 역으로 건축 면적 약 785㎡이다. 현재 부전역에서는 경전선 및 동해 남부선·영동선·중앙선 열차가 정차하여 동해권과 서부 경남 및 호남권을 연결하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다.

3. 부산진역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소재한 경부선 역사로, 동해 남부선이 개통되면서 동해 남부선의 시·종착역[2013년 현재 부전역이 동해 남부선의 시·종착역으로 변화]이었다. 2013년 현재 컨테이너 전용 기지화 되면서 여객 수송이 중단되어 화물 업무만 담당하고 있다. 기존 역사는 폐쇄되고, 철도 노선 주변으로 화물 열차가 진입할 수 있는 컨테이너 야적장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