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69
한자 東萊驛-都市鐵道-
영어의미역 Dongnae Station[Urban railwa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324[온천동 527]|충렬대로 147[온천동 148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553-5402[1호선 역사]|051-605-0252[4호선 역사]
착공 시기/일시 1981년 6월 23일 - 착공[1호선 동래역]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5년 7월 19일연표보기 - 개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1년 3월 30일연표보기 - 개통[4호선 동래역]으로 4호선과의 환승역이 됨
최초 설립지 동래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324[온천동 527]지도보기
최초 설립지 동래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47[온천동 1486]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래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324[온천동 527]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래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47[온천동 148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도시 철도 4호선의 환승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된 이후에 동서축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시 철도 2호선이 건설되었다. 1호선·2호선의 개통으로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가 열리게 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에 강서구가 부산과 김해·창원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거점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만성적인 교통난이 발생하였다. 이에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이 동래를 거쳐 사상 지역과 강서구의 대저까지 연결되었다.

도시 철도 4호선도시 철도 3호선까지의 도시 철도 교통망 구축에도 불구하고 평소 정체를 겪고 있던 동래구와 반송 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아울러 부산에 편입된 기장군 지역에 도시 철도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동래역[도시 철도]은 충렬 대로[만덕과 해운대 방면 연결]와 중앙 대로[노포동에서 남포동 방면 연결]를 연결하는 사거리에 위치해 부산의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의 교차점이다. 이에 만덕 방면이나 해운대 방면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4호선의 환승역이 되면서 3호선과의 연결성을 높이고 반송과 기장 지역의 접근성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동래역[도시 철도]은 노포~범내골 16.2㎞에 이르는 1호선 1단계 공사와 더불어 1981년 6월 23일 착공에 들어가 1985년 7월 19일에 개통하였다.

[변천]

도시 철도 4호선의 미남~안평 구간[12.7㎞] 공사가 2003년 12월 3일에 시작되어 2011년 3월 30일에 개통하면서 도시 철도 1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이 되었다.

[구성]

동래역[도시 철도]은 1호선 동래역사와 4호선 동래역사가 각 8개씩 모두 16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1호선 동래역사는 지상에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1층은 대합실이고 2층은 승강장이다. 동래역[도시 철도]에는 환승 주차장, 자전거 보관소, 물품 보관함,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자동 사진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은 역무실 1개, 매표소 1개, 매점 2개, 화장실, 공중전화기 등이 있다. 반면 4호선 동래역사는 지하 4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지하 1층에서 지하 3층까지는 대합실이고, 지하 4층은 승강장이다. 동래역[도시 철도]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만남의 장소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은 화장실, 고객 서비스 센터, 지상 대피 경로, 터널 대피 경로, 승차권 발매기, 교통 카드 충전기, 우대권 발급기, 소화전 등이 있다.

[현황]

동래역[도시 철도]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1호선 동래역사의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723만 7183명과 1만 9828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806만 9003명과 2만 2107명이다. 도시 철도 1호선 34개 역 중에서 6번째로 승차 인원이 많다. 한편 4호선 동래역사의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53만 426명과 1,915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61만 3332명과 1,680명이다. 도시 철도 4호선 13개 역 중에서 7번째로 승차 인원이 많다. 동래역[도시 철도]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인 동해 남부선의 동래역과는 약 1.5㎞ 떨어져 있다.

동래역[도시 철도] 주변에는 충렬사, 동래읍성지, 복천박물관 등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려 왔다. 2012년에는 희망 세상 만들기, 비만 예방을 위한 캠페인, 장애 아동 인식 개선 캠페인, 신생아 살리기 모자 뜨기 캠페인, 아프리카 염소 보내기 시즌 2 등의 행사를 열었고, 또한 유사한 행사들이 예정되어 있다. 도시 철도 1호선의 노포발 신평행 첫차 시간은 오전 5시 25분이고, 막차는 오후 11시 48분이다. 반면 신평발 노포행 첫차 시간은 오전 5시 50분이고, 막차는 밤 12시 13분이다. 한편 도시 철도 4호선의 안평발 미남행 첫차 시간은 오전 5시 31분이고, 막차는 밤 12시 6분이다. 반면 미남발 안평행 첫차 시간은 오전 5시 41분이고, 막차는 밤 12시 20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