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62
한자 大渚驛
영어의미역 Daejeo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북로 295[대저동 150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972-4265
착공 시기/일시 1997년 11월 25일 - 착공[3호선]
착공 시기/일시 2006년 2월 15일 - 착공[부산 김해 경전철]
준공 시기/일시 2005년 11월연표보기 - 준공[3호선]
준공 시기/일시 2011년 8월 30일연표보기 - 준공[부산 김해 경전철]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5년 11월 28일연표보기 - 개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1년 9월 16일연표보기 - 개통
최초 설립지 대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북로 295[대저동 1503]지도보기
현 소재지 대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북로 295[대저동 150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도시 철도 3호선의 종착역이자 부산 김해 경전철의 환승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된 이후에 동서축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시 철도 2호선이 건설되었다. 1호선·2호선의 개통으로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가 열리게 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에 강서구가 부산과 김해·창원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거점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만성적인 교통난이 발생하였다. 이에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이 동래를 거쳐 사상 지역과 강서구의 대저까지 연결되었다. 이후 부산과 김해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부산 김해 경전철이 개통되었다.

대저역(大渚驛)은 부산 지하철 3호선의 종착역이자 부산 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소외된 강서 지역과 부산 도심의 연결점 역할을 하였으며, 김해와의 접근성도 향상시켜 제2 낙동 대교 등의 교통난을 완화시키고 있다. 대저역은 1997년 11월 25일 수영~대저 간 18.3㎞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 3호선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2005년 11월 28일 개통하였다.

[변천]

대저역부산 김해 경전철이 2011년 9월 16일 개통되면서 부산 김해 경전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구성]

도시 철도 3호선 대저역은 모두 2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상 3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 1층은 주차장이고, 지상 2층은 대합실이며, 지상 3층은 승강장이다. 대저역에는 환승 주차장, 자전거 보관소, 물품 보관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로 역무실, 매표소, 만남의 장소, 고객 서비스 센터, 화장실 등이 있다. 부산 김해 경전철 대저역은 도시 철도 3호선 대저역과 도로를 사이에 두고 육교형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고가형으로 만들어져 지상 2층은 대합실이고, 지상 3층은 승강장이다. 대합실에는 매점과 화장실이 있고, 승강장에는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현황]

대저역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158만 7165명과 4,348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115만 502명과 3,152명이다. 도시 철도 3호선 16개 역중에서 승차 인원 순위가 11번째로 낮은 편이다. 대저역남해 고속 도로대저 분기점, 김해 국제 공항, 부산교통공사 대저 차량 기지, 강서 체육공원 등과 가깝다. 또한 대저역 주변에는 부산우편집중국, 낙동중학교, 대저초등학교, 부산소년분류심사원, 강서 종합 사회 복지관 등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2년에는 결손 가정 어린이 및 무의탁 노인 돕기 캠페인, 노인 학대 예방 캠페인, 기초 질서 계도 캠페인, 유니세프 홍보 캠페인 등의 행사가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