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064
한자 江西區綜合社會福祉館
영어공식명칭 Gangseo-Gu Community Welfare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로63번길 31[대저동 1549-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향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 복지 시설
면적 2,345.0㎡[연면적]
전화 051-972-4591~4592
홈페이지 강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http://www.gangseosw.or.kr/)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4년 2월 25일연표보기 -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월 8일 - 시설 설립 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3월 8일 - 강서어린이집 개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월 4일 - 재가 복지 봉사 센터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4월 15일 - 무료 급식소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4월 21일 - 노인 주간 보호 센터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2월 18일 - 장애 아동 주간 보호 센터 ‘초롱이 교실’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20일 - 이주 노동자 도움 센터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0월 1일 - 장난감 도서관 ‘요술 램프’ 개관
최초 설립지 강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로 63번길 31[대저동 1549-1]지도보기
현 소재지 강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로 63번길 31[대저동 1549-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개설]

사회 복지관이란 「사회 복지 사업법」 제2조, 제34조의 5에 의거한 사회 복지 시설로,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고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 사회의 복지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사회 복지관은 통상 지역 사회의 특성과 지역 주민의 복지 욕구를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 등 지역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실시한다.

[건립 경위]

강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부산광역시 강서구청이 건립하고 사회복지법인 부산YWCA가 위탁 운영하는 기관으로, 1994년 1월 8일 시설 설립 인가를 받아 2월 25일 개관하였다. ‘도움[Help], 조직화[Organize], 참여[Participate], 역량 강화[Empower]’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지역 주민을 존중하고 섬김·나눔·살림을 통해 정의롭고 평화로운 지역 사회를 건설하여 지역 주민 모두가 행복한 희망 공동체로 만들기 위한 비전으로 건립되었다.

[변천]

1994년 3월 8일 강서어린이집을 개원하였고, 1995년 1월 4일 재가 복지 봉사 센터를 개소하였다. 1996년 4월 15일 무료 급식소를 개소하였고, 1999년 4월 21일 노인 주간 보호 센터를 개소하였다. 2001년 2월 18일 장애 아동 주간 보호 센터 ‘초롱이 교실’을 개소하였고, 2005년 11월 20일 이주 노동자 도움 센터를 개소하였다. 2008년 10월 1일 장난감 도서관 ‘요술 램프’를 개관하였다.

[구성]

강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은 연면적 2,345.0㎡의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1층에는 무료 급식소[경로 식당], 조리 실습실, 피아노실, 1층에는 사무실, 재가 노인 지원 서비스 센터, 강서어린이집, 강서 지역 아동 센터, 상담실, 2층에는 관장실, 강당, 강서구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자 쉼터, 프로그램실, 행정실, 3층에는 프로그램실, 재활 치료실, 4층에는 미용실 등이 있다.

[현황]

2013년 3월 현재 관장 이하 복지부장, 행정부장, 가족 복지팀, 지역 복지팀, 사례 관리팀, 노인 돌봄 기본 서비스 센터, 재가 노인 지원 서비스 센터, 지역 아동 센터, 자원봉사 센터, 지역 자활 센터, 어린이집 등의 조직에 사회복지사 14명을 포함하여 30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는데, 2009년부터는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농촌 지역 독거노인 가정을 대상으로 한 노인 한 가족 맺기를 통한 가족 안전망 구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현재까지도 농촌 지역 남성 독거노인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노후 생활을 만들기 위한 ‘남자의 자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저소득 청소년들의 자기 주도적 삶을 개척하기 위한 생애 설계 프로그램과 저소득 가정 한 부모의 심리 사회적 기능 향상 프로그램 싱글벙글을 운영하고 있다. 불안전한 주거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 주민의 보금자리 마련을 위한 지역 자원과 연계하는 프로그램인 스탠딩 하우스와 행복 심기 결연 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 강서구 종합 사회 복지관(http://www.gangseosw.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