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81 |
---|---|
한자 | 龍頭山公園 |
영어의미역 | Yongdusan Park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길 35-18[광복동 2가 1-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정연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용두산 일대에 있는 공원.
[건립 경위]
용두산 주변은 조선 시대에 초량 왜관이 있었는데, 1876년에 개항하면서 일본인 전관 거류지가 되었다. 1899년 용두산 공원(龍頭山公園) 부지 내에 신사가 설치되었다. 1915년부터 1916년까지 일본인들을 위한 휴식 공간의 필요로 인해 이곳에 공원이 조성되었다. 1944년 1월 8일 용두산 공원으로 고시되었다.
[변천]
1948년 11월 17일 화재가 발생하여 용두산 공원 내에 있던 신사가 소실되어 철거하였으며 1954년 12월 10일에는 대화재가 발생하여 공원에 있던 판자촌이 전소하였다. 1955년 3월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호를 따 우남 공원이라고 명칭을 변경하였다가, 1960년 4월 용두산 공원으로 명칭을 환원하였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되었다. 1973년 부산 타워가 건립되었다. 1993년 5월 22일 부산광역시 기념물에서 해제되었다.
[구성]
용두산 공원은 국유지 6만 781㎡, 시유지 4,480.8㎡, 사유지 3,857.2㎡로 총 6만 9119㎡로 이루어져 있다. 용두산 공원은 부산 근대 역사관 쪽에서 들어오는 길과 광복로를 통해 에스컬레이터로 들어오는 길이 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용두산 미술의 거리가 있고, 그 동쪽에는 체육 시설이 있다. 미술의 거리를 지나 북서쪽으로 가면 계단이 나오는데, 계단의 동쪽에는 초량 왜관비가 있다.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공원비가 있고 공원의 가운데 광장이 있으며, 중앙에는 이순신 장군 동상[높이 12m·폭 3.8m·길이 3.8m]이 있다.
광장의 남쪽에는 꽃시계[직경 5m]와 종각[높이 11.3m·부지 321㎡·면적 60.84㎡], 교육 헌장비가 있고, 동서쪽에는 백산 안희제 선생의 흉상[높이 4m·너비 2.45m], 구 충혼탑[높이 7m·넓이 10m·폭 3m], 부산 시민 헌장비가 있다. 북쪽으로는 용탑[높이 4.2m·폭 1.45m]과 전시관, 부산 타워[높이 120m], 팔각정이 있다. 이외에도 문학비 9개로 이루어진 시의 거리, 파고라, 정수사, 주차장 등이 있다.
[현황]
용두산 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2가 1-2번지에 있다. 용두산이라는 지명은 산의 모양이 용이 머리를 들고 바다를 건너는 듯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매해 5월에 연등 축제, 12월에 제야 시민의 타종식 행사 등이 열린다. 부산시설공단 용두산공원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공원은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며, 주변에는 보수동 책방 골목, BIFF 광장, 남포동, 자갈치 시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