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12 |
---|---|
한자 | 麥島江 |
영어의미역 | Macdogang River |
이칭/별칭 | 월포강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반용부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을 흐르는 하천.
[명칭 유래]
맥도강은 맥도(麥島)를 끼고 흐르는 하천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며, 맥도는 섬의 형태가 보리쌀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맥도강은 월포강으로도 불렸는데, 맥도를 끼고 반달 모양으로 곡류하며 흐른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자연 환경]
맥도강은 본래 낙동강의 분류로 부산광역시 강서구 맥도의 북단에서 분기하여, 맥도의 서안을 따라 반달 모양으로 곡류하여 흐르다가, 신노전(新盧田) 남단에서 평강천(平江川)과 합류하여 신포 명지 나들목를 지나 낙동강으로 다시 유입하는 하천이다. 1982년 공항로 확장 공사로 맥도 서안에 제방이 축조되며 물길이 막혀 현재는 유속이 느린 호수와 같이 변해 버렸다. 맥도는 낙동강 삼각주의 일부인 하중도이다. 지형은 평탄하고 고도가 낮아 큰비가 오면 자주 침수된다.
[현황]
맥도강의 유로 연장은 11.6㎞, 하폭은 약 300m이며 유역 면적은 6.21㎢이다. 낙동 대교 부근 맥도 나루에서 발원해 명지 나들목에서 평강천에 합류한다. 금호 마을 제방 축조로 호수처럼 변한 맥도강은 현재 주변에 유입되는 생활 하수와 쓰레기 등으로 하천 수질이 크게 오염되었다. 맥도강의 범람으로 하천 주변에 상습 침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자 명지·영강 배수 펌프장과 맥도 배수 펌프장을 건설해 침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맥도강 동쪽의 맥도에는 맥도 생태 공원이 조성되어 시민의 위락 공간으로 제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