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00 |
---|---|
한자 | 九德水源地 |
영어의미역 | Gudeok Catchment Area |
이칭/별칭 | 구덕 저수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반용부 |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 있던 부산 최초의 현대식 저수지.
[개설]
구덕 저수지라고도 불리는 구덕 수원지(九德水源地)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현대적 상수도 시설이다.
[건립 경위]
구덕 수원지는 일본 전관 거류지(日本專管居留地)에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원래 초량 왜관[용두산 공원 일대로 전관 거류지가 됨] 내에는 우물 두 곳이 있었는데, 개항 이후 거류민의 증가로 물 부족 문제가 대두되자 1886년 보수천의 물을 죽관(竹管)과 목통(木桶)으로 끌어와 이용하였다.
1894년에는 대청동에 배수지를 설치하여 보수천의 물을 대청동으로 보내는 시설을 완비하였으나 물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1900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02년에 근대 최초의 명실상부한 상수도 시설로 구덕 수원지가 준공되었다. 구덕 수원지의 건립으로 서구와 중구 1만여 주민들에게 1일 약 2,000㎥씩 식수가 공급되었다.
[변천]
해방 이후 부산광역시 서구 및 중구 지역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하자 낙동강 물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이 완비되면서 1963년 구덕 수원지는 기능을 잃게 되었다. 1972년 9월 14일 폭우로 구덕 수원지의 둑이 터지는 사고가 발생해 사망자 60명, 실종자 14명, 부상자 48명 등 대규모 인명 피해와 함께 수재민이 발생하였다. 이후 수원지는 복구되었으나 1981년 구덕 터널 공사가 시작되어 옛 흔적도 사라졌다.
[구성]
구덕 수원지는 돌로 쌓은 석축으로 상수도용 식수를 저장하던 저수지이다. 석축의 둑 길이는 약 50m이고, 높이가 20m, 수면의 폭이 70m였다.
[현황]
구덕 수원지는 도로 개설 및 구덕 터널 개통 공사로 흔적이 사라졌다. 현재는 구덕초등학교 입구 옛 구덕 수원지 터에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