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00
한자 九德水源地
영어의미역 Gudeok Catchment Area
이칭/별칭 구덕 저수지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저수지
면적 50m[둑 길이]|20m[높이]|70m[수면 폭]
준공 시기/일시 1902년연표보기 - 구덕 수원지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 수원지 기능 상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 구덕 터널 공사로 폐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2년 9월 14일 - 폭우로 저수지 둑 붕괴 사고
최초 설립지 구덕 수원지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 있던 부산 최초의 현대식 저수지.

[개설]

구덕 저수지라고도 불리는 구덕 수원지(九德水源地)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현대적 상수도 시설이다.

[건립 경위]

구덕 수원지일본 전관 거류지(日本專管居留地)에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원래 초량 왜관[용두산 공원 일대로 전관 거류지가 됨] 내에는 우물 두 곳이 있었는데, 개항 이후 거류민의 증가로 물 부족 문제가 대두되자 1886년 보수천의 물을 죽관(竹管)과 목통(木桶)으로 끌어와 이용하였다.

1894년에는 대청동에 배수지를 설치하여 보수천의 물을 대청동으로 보내는 시설을 완비하였으나 물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1900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02년에 근대 최초의 명실상부한 상수도 시설로 구덕 수원지가 준공되었다. 구덕 수원지의 건립으로 서구중구 1만여 주민들에게 1일 약 2,000㎥씩 식수가 공급되었다.

[변천]

해방 이후 부산광역시 서구 및 중구 지역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하자 낙동강 물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이 완비되면서 1963년 구덕 수원지는 기능을 잃게 되었다. 1972년 9월 14일 폭우로 구덕 수원지의 둑이 터지는 사고가 발생해 사망자 60명, 실종자 14명, 부상자 48명 등 대규모 인명 피해와 함께 수재민이 발생하였다. 이후 수원지는 복구되었으나 1981년 구덕 터널 공사가 시작되어 옛 흔적도 사라졌다.

[구성]

구덕 수원지는 돌로 쌓은 석축으로 상수도용 식수를 저장하던 저수지이다. 석축의 둑 길이는 약 50m이고, 높이가 20m, 수면의 폭이 70m였다.

[현황]

구덕 수원지는 도로 개설 및 구덕 터널 개통 공사로 흔적이 사라졌다. 현재는 구덕초등학교 입구 옛 구덕 수원지 터에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홍* 개설의 고원견수원지는 고원견상 저수지와 구덕1,2저수지 물이 모이는 정수장역할을 하는 수원지로 지금의 동아대병원 일대로 60년대 중후반에 매립되어 없어집니다.
1972년 붕괴된 구덕수원지는 지금의 구덕터녈입구에 있던 구덕1저수지로 고원견 수원지 와는 별개입니다.
개설의 매립된 고원견수원지와 변천의 붕괴된 구덕수원지가 같은 곳으로 알 소지가 있네요..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2019.08.14
홍* 1900년에 축조되었으며 석축의 둑은 길이 50m 높이 20m 수면의 폭은70m 정도였다.
구덕야영장과 대신공원에 있는 두 곳 수원지도 거의 같은 시기에 축조되었는데, 이 세 곳 수원지의 물이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 아래에 있었던 정수장을 거쳐 대청동의 배수지에 저장되었다가 중구와 서구 1만여명의 식수로 공급되었다. "부산서구청 홈페이지에서.".
2019.08.14
훙* 복병산배수지는 1910년도에 축조되었으며 성지곡수원지와 연결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구덕수원지는 대청동 배수지와 연결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알아보시고 수정 부탁합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2019.08.1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