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정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415
한자 松亭灣
영어의미역 Songjeongman Bay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8㎞
전구간 송정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당 지역 소재지 송정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만.

[명칭 유래]

송정만(松亭灣)송정동에 자리하고 있어 붙은 지명이다. 송정동은 이곳의 세거 씨족인 광주 노씨가 해송림(海松林)이 울창한 언덕에 정자를 지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자연 환경]

송정만은 만구(灣口)가 넓고 내만이 긴 사빈(沙濱)으로, 만에는 송정 해수욕장이 자리하고 있다. 북쪽 해안으로 송정천(松亭川)이 유입하고 있으며 송정천 하구 앞에는 작은 육계도가 있다. 사빈의 남서단에서 해운대의 고두말까지는 암석 해안으로서 곳에 따라 해식애가 나타나나 대부분 파식대로 되어 있다. 다만 청사포 일대에는 소규모의 사빈이 발달해 있다. 고두말의 해안은 전형적인 해식애로 되어 있다.

[현황]

송정만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의 동암각으로부터 해운대구 와우산(臥牛山)의 말단인 고두말에 이르는 만으로 폭 약 8㎞에 이른다. 만구가 넓고 내만은 1㎞ 정도의 긴 사빈으로, 현재 송정 해수욕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송정 해수욕장은 바닷물의 수질이 맑고 깨끗하며 연평균 수온은 18℃를 유지하고 있다. 수심이 얕고 경사가 완만하며 파도가 잔잔하여 가족 단위의 피서지로 매우 적합하다. 백사장의 길이는 1.2㎞, 폭은 57m, 면적은 6만 2150㎡에 이른다. 특히 죽도 공원에서 해수욕장 오른쪽에 있는 작은 포구 마을인 구덕포까지 이어지는 해안선이 매우 아름답다.

송정천 하구 앞에 형성된 작은 육계도에는 죽도 공원이 형성되어 있다. 죽도 공원에는 송정 등대가 입구를 지키고 있다. 빨간색과 흰색의 강렬한 대비를 이루는 두 개의 등대가 독특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사진 촬영을 하러 오는 사람들로 붐빈다. 또 죽도 공원 정상에 위치한 암자인 송일정에 올라 바라보는 해수욕장의 전경은 푸른 소나무 숲과 어우러져 한 폭의 풍경화를 감상하는 듯한데, 특히 이곳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월출이 장관이다. 송정 등대 주변 방파제는 낚시하기에 안성맞춤인 곳으로, 게·놀래미 등을 잡으러 오는 낚시꾼들이 많이 몰리고 있다. 이 육계도와 송정천 하구 사이에는 작은 만입이 형성되어 있어서 소형 어선의 정박지가 되고 있다. 송정만 일대는 송정 마을을 중심으로 어촌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 『부산시사』1(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89)
  • 『부산 지명 총람』3(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 『부산의 자연 마을』3-해운대구·기장군(Ⅰ) 기장읍(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8)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 큐비 여행(http://www.qubi.com)
  • 해운대 문화 관광(http://tour.haeunda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