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312
한자 九德文化公園
영어의미역 Gudeok Cultural Park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꽃마을로163번길 73[서대신동 3가 산18-1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정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원
면적 20,000㎡
전화 051-240-4712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수목원[가칭]으로 개장
개칭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 수목원에서 구덕 문화 공원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1월 5일 - 교육 역사관과 다목적관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1일 - 목석 원예관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3월 30일 - 민속 생활관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차 재배지 조성
최초 설립지 수목원 - 부산광역시 서구 꽃마을로 163번길 73[서대신동 3가 산18-15]지도보기
현 소재지 구덕 문화 공원 - 부산광역시 서구 꽃마을로 163번길 73[서대신동 3가 산18-15]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공원.

[건립 경위]

부산 시민들의 평생 교육 및 학생들의 현장 학습을 위한 문화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4년에 수목원을 조성하였다.

[변천]

2004년 11월 5일 교육 역사관과 다목적관을, 2005년 11월 1일 목석 원예관을, 2006년 3월 30일 민속 생활관을 개관하였다. 원래 시설의 명칭은 수목원이었으나 2007년에 박물관, 식물원, 전시관, 체육 시설 등이 완공되면서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 문화 공원 관리 및 운영 조례안」에 따라 구덕 문화 공원(九德文化公園)으로 명칭을 개칭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2년에는 금당 최규용 다비 주변의 유휴 부지 1,000㎡에 3년생 장군차 묘목 1만 2000그루를 심어서 차 재배지를 조성하였다.

[구성]

구덕 문화 공원의 면적은 약 2만 ㎡이며, 공원 내에 지상 1층, 면적 277.4㎡의 목조 건물인 교육 역사관과 지상 2층, 면적 447.2㎡인 민속 생활관이 있다. 그밖에도 석부작과 아열대 수목이 있는 목석 원예관, 전시와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다목적관, 다목적 광장, 무인석 등이 전시된 옛돌 마당, 야생화 등 자연 체험 학습장을 갖춘 들꽃 동산,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편백(扁柏) 숲 명상의 길, 인공 폭포와 놀이마당, 화가 신창호 추모비, 금당 최규용 다비 등이 있다. 부대시설로는 데크 이동로가 4개소, 전망대가 1개소, 16면의 주차장 및 주차 관리실, 매점, 옥외 화장실 등을 갖추고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서구 꽃마을로 163번길 73번구덕 문화 공원이 있는데, 여기는 부산 최초의 상수도 시설인 구덕 수원지가 있었던 곳이다. 구덕 문화 공원 일대는 2005년 11월에 부산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 정상 회의 때 회원국 CEO 최고 경영자 회의[Summit] 배우자들 40명이 방문한 곳이기도 하다. 3월부터 10월까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11월부터 2월까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용이 가능하며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 및 공휴일이다. 주변에는 구덕 야영장, 구덕 운동장, 내원정사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 문화 공원 관리 및 운영 조례안」
  • 『뉴시스』(http://www.newsis.com)
  • 구덕 청소년 수련관(http://www.gudeok.go.kr)
  • 부산광역시 서구청(http://www.bsseog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