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080
한자 大沙平野
영어의미역 Daesa Pl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평야
길이 약 10.5㎞
1~2㎞
전구간 대사 평야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해당 지역 소재지 대사 평야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대사도에 발달한 퇴적 평야.

[명칭 유래]

대사도(大沙島)에 있는 평야라 하여 대사 평야(大沙平野)라고 부른다. 대사도는 많은 모래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큰 섬이란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자연 환경]

대사 평야낙동강이 운반한 토사가 하도에 퇴적되어 형성된 삼각주의 일부인 대사도에 발달한 평야다. 대사 평야가 발달한 대사도는 낙동강(洛東江) 삼각주의 일부로 북쪽과 서쪽으로는 낙동강에서 분기한 서낙동강이 흐르며, 동쪽으로는 대저도(大渚島)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평강천이 흐른다. 즉 대사도는 평강천(平江川)서낙동강 사이에 발달된 거대한 하중도로 평탄한 모래가 퇴적된 평지이다. 대사도 남단에는 퇴적된 하중도인 순아도(順牙島)가 있고, 대사도와 순아도 사이에 작은 샛강은 서낙동강으로 유입한다.

대사도는 중덕도(中德島)·팔애섬·신덕도(新德島)·덕도도·신천도·덕포도·송백도(松栢島)·천자도(天字島)·순아도·수봉도(水鳳島)·평위도(平渭島) 등 소규모의 하중도들이 모여 형성되었으며, 소규모 하중도는 현재 섬으로서의 형태는 사라졌으나, 하중도들 사이로 작은 샛강들이 흐르고 있다. 서낙동강 변의 큰 하중도인 대사도에 발달한 비옥하며 평탄한 지형이 대사 평야이다.

[현황]

대사 평야강동동에 속하는 비옥한 평야로 농업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풍부한 낙동강의 용수와 인접한 시장을 바탕으로 한 근교 농업의 중심지로 ‘한국의 덴마크’로도 불린다. 대사 평야는 본래 여러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농사를 짓기 위해 농민들의 작은 배[농선]로 샛강의 수로를 오가는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지 정리 및 개간과 함께 도로 정비와 각종 개발이 진행되며 하중도가 대사도로 연결되면서 대사 평야의 규모가 커졌다. 대사 평야는 현재 화훼를 비롯한 각종 원예 작물을 시설 재배하고 있다. 대사 평야의 길이는 약 10.5㎞, 폭은 1~2㎞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