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130
한자 伽倻琴散調姜太弘流
영어의미역 Gayageum Sanjo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정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작|발표 시기/일시 1989년 5월 4일 - 월간 「객석」 주최 가야금산조 여섯 바탕전 초청 연주[신명숙] 개최
비물질 문화유산 지정 일시 1989년 7월 6일연표보기 - 가야금산조(강태홍류)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가야금산조(강태홍류)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9월 28일 - 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 발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11월 9일 - 제1회 보유자 및 전수자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9월 6일 - 국립 국악원 제127회 무형 문화재 정기 공연 개최[신명숙]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 제1회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11월 24일 -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악보 출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11월 24일 - 효산 강태홍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제 연주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11월 25일 - 효산 강태홍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제 학술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12월 27일 - KBS 국악 대상 단체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2월 15일 - 자료집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연구』 발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2월 31일 - 제6회 동래구 애향 대상 예술 부문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0월 22일 - 한일문화교류협회 초청 일본 공연[신명숙]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2월 12일 - 제1회 이수자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12월 1~2일 - 제2회 효산 국악제 연주회 및 학술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12월 27일 - 효산 강태홍 선생 일가 예적비 건립 기념 공연[전라남도 무안군]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6월 - 제1회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워크숍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9월 -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음반 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6일 - 제9회 강태홍류 풍류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2월 12일 - 동래 줄풍류 발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18일 - 부산 APEC 축하 기념 공연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6일 - 이수 발표회[고재록, 김세정, 이정은, 이보은, 조경화]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2월 13~14일 - 제7회 효산 국악제-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 사단법인 설립 기념 산조 여섯 바탕전[10·16 기념관]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 25일 - 이수 발표회[차선민, 손창숙, 황남은][10·16 기념관]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5월 21일 - 한·일 음악 교류회 ‘가야금과 고토의 조화’[동래 문화 회관]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0월 28일 - 국립 부산 국악원 개원 축하 공연[국립 부산 국악원 연악당]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5월 15~18일 - 제4회 가야금과 고토의 콘서트[일본 요코하마 능악당]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6월 9일 - 2009 국립 부산 국악원 제2회 화요 공감 무대 ‘예인과 함께하는 우리 문화’ 신명숙 명인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독주[국립 부산 국악원 예지당]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23일 - 이수 발표회[김문필, 김지영][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5월 18일 - 2010 시대 공감 열린 무대[국립 국악원 우면당]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2일 - 부산·상해 전통 음악 교류[부산 시민 회관 대극장]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1월 4일 - 2010 강태홍의 소리 지음지무천지동화[국립 부산 국악원 연악당]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2월 21일 - 이수 발표회[박희전, 천지은, 김명수, 이희원, 최아라][부산 민속 예술관]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10일 - 양산 부산대학교 병원 JCI 인증 및 중공 기념 축하 음악회[양산 부산대학교 병원]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9월 28일 - 2011 강태홍의 소리 효산별곡[부산 금정 문화 회관 대공연장]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9월 30일 - 해외 자매 도시 전통 음악 교류 한마당[부산 시민 회관 대극장]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0월 7일 - 2011 김해 가야금 페스티벌 가야금 명인전-신명숙[김해 문화의 전당 마루 홀]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1월 22~24일 - 2011년 일본 시모노세키 ‘리틀 부산 축제’[일본 시모노세키 그린 몰 일대]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7월 17일 - 2012년 부산광역시 지정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 작품전 초청 연주[부산시립박물관]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9월 14일 - 해외 자매 도시 전통 음악 교류 한마당[부산 시민 회관 대극장]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1월 6일 - 2012 강태홍의 소리-교학상장[부산 문화 회관 중극장] 개최
초연|시연장 예음 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공연장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지도보기
공연장 부산 시민 회관 -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133번길 16[범일동 830-31]지도보기
공연장 부산 문화 회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76번길 1[대연동 848-4]지도보기
성격 국악 독주
양식 가야금산조
작곡가 강태홍
연주자 신명숙
주요등장인물 연주자 1명|장구 반주 1명
공연시간 60분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된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개설]

「가야금산조(伽倻琴散調)」는 가야금으로 연주하도록 짜인 산조를 가리킨다. 산조란 악기를 혼자서 연주하는 형식으로, 느린 장단으로 시작하여 차츰 빠른 장단으로 바뀌기 때문에 청중을 서서히 긴장시키면서 흥겨움을 끌어올리는 특징이 있다. 「가야금산조」는 4~6개의 장단으로 짜이는데 진양조에서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의 빠르기로 되어 있다. 각 장단의 느낌을 살펴보면 진양조는 아주 느려서 서정적이고, 중모리는 안정적이며, 중중모리는 흥취를 돋운다. 자진모리는 밝고 경쾌하고, 휘모리는 흥분과 급박감이 있다.

「가야금산조」는 다른 국악기의 산조 가운데 최초로 만들어진 것이며, 뛰어난 기교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끌어서 여러 유파가 형성되었다. 그 중 강태홍(姜太弘)[1893~1957]이 개발한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는 막아 내기, 눌러 내기, 엇박자 등의 어려운 기교가 많아서 「가야금산조」 중에서도 기교파의 총수로 평가된다.

[공연 상황]

1989년 5월 4일 월간 『객석』 주최 ‘가야금산조 여섯 바탕전’에서 전수자인 신명숙을 초청하여 연주하였다. 1989년 9월 28일 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가 발족한 이래 1990년 11월 9일 제1회 보유자 및 전수자 발표회를 시작으로 하여 회원들의 독주회가 해마다 공연되고 있다. 1991년부터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발표회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연주회를 열고 있다. 1993년 11월 24일 효산 강태홍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제 연주회, 11월 25일 효산 강태홍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제 학술 발표회가 개최되었다.

1993년 11월 24일에는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악보가 출판되었고, 1994년 12월 15일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연구』가 자료집으로 발간되었다. 1993년 12월 27일 KBS 국악 대상 단체상을 수상하였다. 1994년 12월 31일 제6회 동래구 애향 대상 예술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1996년 10월 22일 한일문화교류협회 초청 일본 공연[신명숙]을 하였다. 이외에도 1996년 12월 12일에는 제1회 이수자 발표회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열고 있다. 1997년 12월 1~2일 제2회 효산 국악제 연주회 및 학술 발표회, 12월 27일 효산 강태홍 선생 일가 예적비 건립 기념 공연[전라남도 무안군]이 열렸다. 1998년 6월 제1회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워크숍을 개최한 이래 매년 열고 있다. 1999년 9월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음반이 제작되었다.

2002년 12월 6일 제9회 강태홍류 풍류 발표회, 2003년 12월 12일 동래 줄풍류 발표회가 열렸다. 2005년 11월 18일 부산 APEC 축하 기념 공연에서 연주되었다. 2006년 12월 6일 이수 발표회[고재록, 김세정, 이정은, 이보은, 조경화]가 열렸다. 2007년 12월 13~14일 제7회 효산 국악제-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 사단법인 설립 기념 산조 여섯 바탕전이 10·16 기념관에서 열렸다. 2008년 4월 25일 이수 발표회[차선민, 손창숙, 황남은]가 10·16 기념관에서 열렸다. 2008년 10월 28일 국립 부산 국악원 개원 축하 공연에서 연주되었다.

2009년 6월 9일 2009 국립 부산 국악원 제2회 화요 공감 무대 ‘예인과 함께하는 우리 문화’ 신명숙 명인 강태홍류「가야금산조」 독주가 국립 부산 국악원 예지당에서 열렸다. 2010년 3월 23일 이수 발표회[김문필, 김지영]가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주최로 열렸다. 2010년 5월 18일 국립 국악원 우면당에서 열린 2010 시대 공감 열린 무대에서 공연되었다. 2010년 10월 2일 부산 시민 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부산·상해 전통 음악 교류에서 공연되었다. 2010년 11월 4일 2010 강태홍의 소리 지음지무천지동화(知音知舞天地同化)가 국립 부산 국악원 연악당에서 열렸다.

2011년 2월 21일 이수 발표회[박희전, 천지은, 김명수, 이희원, 최아라]가 부산 민속 예술관에서 열렸다. 2011년 3월 10일 양산 부산대학교병원 JCI 인증 및 준공 기념 축하 음악회에서 연주되었다. 2011년 9월 28일 2011 강태홍의 소리 효산별곡(曉山別曲)이 부산 금정 문화 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렸다. 2011년 9월 30일 해외 자매 도시 전통 음악 교류 한마당이 부산 시민 회관 대극장에서 열렸다. 2011년 10월 7일 2011 김해 가야금 페스티벌 가야금 명인전-신명숙[김해 문화의 전당 마루 홀]이 열렸다.

2008년 5월 21일 한·일 음악 교류회 ‘가야금과 고토의 조화’가 동래 문화 회관에서 개최되었다. 2009년 5월 15~18일에는 일본 요코하마[橫濱] 국립 능악당에서 제4회 가야금과 고토의 콘서트를 개최하였고, 2011년에는 일본 시모노세키[下關]의 ‘리틀 부산 축제’에 참가하여 연주하는 등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를 공연하고 있다.

2012년 7월 17일에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부산광역시 지정 무형 문화재 기능 보유자 작품전 초청 연주’ 및 전수관에서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워크숍’이 열렸다. 2012년 9월 14일에는 부산 시민 회관 대극장에서 ‘해외 자매 도시 전통 음악 교류 한마당’을 하였고 11월 6일에는 부산 문화 회관 중극장에서 ‘2012 강태홍의 소리-교학상장(敎學相長)’을 공연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구성]

「가야금산조」는 느린 진양조에서 시작하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의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 중 자진모리 가락은 개구리 울음소리를 연상하였다고 전해지며, 휘모리 가락은 종이우산에 몰아치는 빗소리처럼 잘게 통통 튀는 느낌을 자아내고, 템포가 가장 빠른 휘모리 가락에서는 조랑말이 뛰어가는 듯한 말발굽 소리이다.

[내용]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연주는 반주자인 고수(鼓手) 한 명과 가야금 연주자 한 명으로 구성된 독주곡 형식이지만, 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가 설립되면서 다수가 한 곡을 함께 연주하여 범위를 합주곡 형태로 넓히고 있다. 그러나 독주곡의 형식을 벗어나지는 않고, 다만 연주자 수를 증가시킨 것이므로 공연 분위기를 좀 더 화려하게 확대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징을 보면 산조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계면조(界面調)[슬프고 처절한 느낌을 주는 음조]를 줄이고, 우조(羽調)[맑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 음조]와 강산제(江山制)[목소리가 분명하고 정교하여 화창하고 맑은 느낌을 주는 음조]를 많이 끌어들임으로써 호쾌하고 온화한 면이 많다. 가락은 복잡하고 불규칙적이며 엇박이 많이 나타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야금산조」는 휘모리에서 가장 빠른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강태홍류는 그 보다 더 빠른 휘모리가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의의와 평가]

「가야금산조」는 1989년 7월 6일에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는 타 「가야금산조」에 비해 정박보다는 엇박과 당김음이 많고 리듬이 세분화되어 음악적 기교 또한 매우 높아 수준 높은 산조 음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는 고도의 예술성을 지닌 민속 음악으로 의미가 있으며, 현재 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에서 정기 연주회·독주회·이수자 발표회·학술 발표회 등의 왕성한 활동을 통해 전승과 보존에 힘쓰고 있다.

[참고문헌]
  • 강태홍류가야금산조보존회(http://cafe.daum.net/KangTaeHong)
  • 문화재청(http://www.ch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