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언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910
한자 李彦濤
영어음역 Yi Eondo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금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악가
성별
대표경력 부산대학교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32년 4월 6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사범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75년 -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79~1980년 - 향신회 회장
활동 시기/일시 1980~1997년 8월 -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수 재임
몰년 시기/일시 2000년 4월 29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이언도 출생지 - 부산광역시
활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 대학로 63번길 2지도보기

[정의]

부산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가.

[활동 사항]

이언도(李彦濤)는 1932년 4월 6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1957년 부산사범학교를 졸업한 이후 부산 대청동의 남성여자고등학교에서 음악 교사로 재직하였다.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 음악학과, 1975년 중앙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79년 이상근(李相根)과 제자들이 만든 서양 음악 연주 단체인 향신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수로 부임하여 1997년 8월까지 재임하였다. 한국음악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2000년 4월 29일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이언도는 대한민국 작곡상을 수상한 부산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영남악파의 1세대인 이상근의 제자로서 영남악파 2세대를 이은 작곡가로 평가된다. 스승 이상근의 영향으로 음악 교육가로서의 관심은 음악 교과서 편찬 작업에 나타나 있다. 작품은 가곡, 소규모의 실내악·합창·관현악곡에 주력하였다. 특히 실내악과 관현악 작품에서 소제목을 즐겨 넣어 새로운 양식의 시도를 꾀하는 현대적 기법의 음악을 청중에게 이해시키려 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작품으로는 한국 가곡인 1980년 「벚꽃 지는 날」, 1993년 「구덕산의 어스름」이 있다. 실내 악곡으로 1977년 「Double Bass와 Double Quartet를 위한 Ensemble」, 1978년 「현악 4중주를 위한 염(念)」, 1980년 「현악 4중주를 위한 Contrast」, 1981년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발(發) 3장」, 1984년 「두 대의 대금을 위한 독백」, 1985년 「클라리넷과 현악 합주를 위한 기만」, 1987년 「첼로와 타악기를 위한 적(寂)과 동(動)」, 1992년 「바이올린, 클라리넷과 타악기를 위한 3장」, 1993년 「4개의 트럼본을 위한 파노라마(Panorama)」가 있다.

그리고 관현악곡으로 1965년 「관현악을 위한 토카타」, 1976년 「관현악을 위한 군상」, 1982년 「교향적 이미지(Image) 대시(大始)」, 1985년 「교향시, 태풍 사라」가 있으며 여성 3부 합창곡으로 1961년 「장미」, 혼성 합창곡으로 1980년 작곡한 「세 편의 바람」이 있다. 음악 교과서 편찬에도 힘썼는데 1978년 이상근·이언도가 공저한 『고등 음악』과 1995년 펴낸 『고등 음악』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91년 한국음악협회 부산지회가 주는 부산 음악상[작곡 부문]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