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0807 |
---|---|
한자 | 扶桑敎御鈎布敎所 |
영어의미역 | Eogu Mission Work Station of Busanggyo |
분야 | 종교/신종교,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배병욱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에 있었던 부상교 소속 교당.
[설립 목적]
일본 바쿠후[幕府] 말기부터 출현하기 시작한 습합 신도, 즉 ‘신종교(新宗敎)’는 봉건 체제 붕괴에 따른 사회 혼란과 근대화 프로젝트의 부작용 등을 파고들어 신자들의 열렬한 지지를 얻음으로써 단기간에 발전을 이루었다. 부상교(扶桑敎)[후쇼교] 역시 그 중 하나로, 1873년 시시노 나카바[宍野半]에 의해 후지 신앙을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1882년 일본 정부 포고령에 따라 국가 신도(國家神道)에서 분리된 13개 교파 신도(敎派神道) 중 하나가 되었으며, 조선 개항 이후 일본의 타 신종교와 함께 일제의 비호를 받으며 식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에 진출하여 그 교세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변천]
부상교 어구포교소(扶桑敎御釼布敎所)는 1930년 6월 14일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구포리 371-1번지[현재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서 ‘부상교 구포포교소(扶桑敎龜浦布敎所)’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1931년 6월 30일 ‘부상교 어구포교소’로 개칭되었으며, 동시에 부산부 대신정 1013번지[현재의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로 그 소재지가 변경되었다. 1936년 5월 31일 포교소 폐지계가 인가되었다. 대표 포교자는 이시츠카 키이[石塚キイ]라는 인물이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종교 의례와 포교가 그 주된 활동이었다. 부산부의 조사에 따르면 1932·1933년 당시 신도 호수는 일본인 50호였다. 이를 통해 주로 일본인을 대상으로 종교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현황]
과거 부상교 어구포교소가 위치했던 대신정 1013번지는 현재의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2가 서대신 골목 시장 일대로, 일제 강점기 당시의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의의와 평가]
메이지기 이래 부상교 등 일본의 신종교는 천황제 근대 국가를 지지했으며, 본국을 넘어 식민지에서까지 통합 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다. 이들에 대한 현황 파악을 통해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서의 일제의 문화적 침투의 양상을 알 수 있어, 향토사 연구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