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552
한자 映畵-批評
영어의미역 Movies and Criticism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충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평서
저자 장갑상
간행자 박윤철
표제 영화와 비평
간행 시기/일시 1970년 2월 20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대학교 도서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장전동 40]지도보기
간행처 『영화와 비평』 간행처 - 부산광역시

[정의]

1970년 부산에서 최초로 발간된 영화 평 문집.

[편찬/간행 경위]

부산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이자 영화 평론가로 활동한 장갑상이 일간지 문화부 재직 시의 영화 단평들을 모아 1970년 2월 20일 『영화와 비평』으로 펴냈다.

[형태]

총 333쪽 문고판 단행본이며 14쪽의 영화 스틸 흑백 화보가 삽입되어 있다.

[구성/내용]

내지에 ‘영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목차와 8쪽짜리 화보가 앞에 배치되어 있다. 제1부는 영화론[25~115쪽]이다. 「영화의 의의」, 「영화와 인생」, 「예술과 영화」 등 34편의 영화론이 실려 있다. 출처는 『부산 일보』, 『민주 신보』 등 일간지, 『수대 학보』, 『부대 신문』 등 대학 신문, 강연 초고문 등이다. 6쪽짜리 화보가 제1부와 제2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제2부는 영화 평[125~331쪽]이며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영화 종합 평으로, 1953년부터 1963년까지의 매해 영화 총평이 실려 있다. 1957년과 1959년부터 1969년까지는 한 해의 베스트 영화들을 한국 영화와 외국 영화로 구분하여 제목만 나열하였다. 제2장은 영화 단평으로 「미녀와 야수」부터 「공군 대전략」까지 268편의 영화가 상영 연대순으로 실려 있다. 이 중 한국 영화는 60여 편 소개되어 있다. 각 글의 분량은 한 줄짜리에서부터 한 면이 넘는 것까지 다양하다. 후기[332~333쪽]가 뒤에 붙어 있다. 부산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영화와 비평』에는 ‘부대도서관 혜존 필자 증정(釜大圖書館 惠存 筆者 贈呈)’이라는 필자의 자필이 있다

[의의와 평가]

내용은 간략하지만 300여 편에 이르는 영화를 소개한 글을 모아 놓은 최초의 본격적인 영화 평 문집이다. 비평에 관한 일반 이론에서부터 일본 영화 수입 문제까지 이론과 시사를 망라한 다양한 글들이 있으며 이 책에 거론된 한국 영화들은 대부분 오늘날 한국 영화사와 한국 영화 미학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는 작품들이다. 이것은 지은이의 수준 높은 안목을 보여 주는 것이며 당시의 증언이라는 점에서 영화사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만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