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0392 |
---|---|
한자 | 淸秋 |
영어음역 | Cheongchu |
영어의미역 | Fall of Listeni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38번길 3[중앙동 2가] 거림 빌딩 4층 503호 청추회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은진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가의 지역 문학 단체 청추회에서 발간한 동인지.
[창간 경위]
청추회는 부산 문화계 원로 중진들의 모임으로, 그 시작은 1950년대 부산의 신문 3사 문화부 기자 출신인 최계락, 최봉경, 김규태, 송재근 등이 주 멤버였던 삼각회가 시발점이 되었다. “삶의 쓴맛, 단맛, 그리고 슬픔과 환희를 겪고 이승의 한 언덕을 넘어가려는 시점에서 가을도 푸를 수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2003년 10월 『청추(淸秋)』를 창간하였다.
[형태]
신국판[15.2×22.5㎝] 형태로 200쪽 내외 분량이다.
[구성/내용]
『청추』는 초대석과 회원 글을 큰 틀로 하되, 각 호마다 특집 면이 추가되는 구성이다. 창간호에는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설동근 전 부산 교육감 등이 초대 글을 썼고, 회원 글은 청추회 회원들의 시, 세평 만필, 수필 등이 실렸다. 2003년 가을 호에는 소설가 윤정규 추모 특집, 2004년 봄 호에는 언론인 이광우와 애국지사 한형석을 기리는 특집이 실렸다. 2005년 가을 호에는 강기성[부산정보대학 학장] 회고록, 초대 글, 원로 문인의 글, 정규명의 추도사 등이 실렸다.
[변천과 현황]
2005년 가을 호까지 발행되었다. 14명의 청추회 회원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었다. 회원은 회장 구철회를 비롯해, 김규태, 박명희, 박응석, 서재관, 손경하, 송재근, 우용태, 이수관, 이순이, 이신철, 이창우, 정순철, 최봉경 등이다.
[의의와 평가]
청추(淸秋)는 청춘(靑春)에 빗대, 젊지 않아도 마음 정하기 따라 얼마든지 아름다울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흔이 넘는 지역의 문화 원로들의 왕성한 활동은 부산 지역 문화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