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350
한자 釜山障礙人-祝祭
영어의미역 Busan Media Festival for the Handicapped
이칭/별칭 BPFF,장미 축제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행사/행사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42[우동 14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행사시기/일시 2006년 8월 28~29일[제1회 부산장애인영화제]
전화 051-749-9512
홈페이지 방송통신위원회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http://www.comc.or.kr)
시작 시기/일시 2006년 8월 28~29일연표보기 - 제1회 부산 장애인 영화제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6월 24~26일 - 제5회부터 부산 장애인 영화제에서 부산 장애인 미디어 축제로 명칭 변경
행사 장소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2층 공개 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42[우동 1472]지도보기
주관 단체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42[우동 147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개최되는 장애인 영상 축제.

[연원 및 개최 경위]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공감을 높이고 장애인들이 주인공이 되어 여러 가지 문화 행사를 직접 즐기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고자 2006년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제1회 부산 장애인 영화제가 열렸다.

[행사 내용]

2009년 제4회 부산 장애인 영화제부터 기간이 이틀에서 사흘로 늘어났으며, 2010년 제5회부터 부산 장애인 영화제에서 부산 장애인 미디어 축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부산 장애인 미디어 축제에서는 개봉작뿐만 아니라 시청자미디어센터의 영상물 장비 및 제작 지원을 받아 장애인이 직접 만든 작품, 장애인 인권을 다룬 작품, 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의 작품이 상영된다. 모든 작품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면 해설과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이 제공된다.

이 밖에도 장애 인식 개선 사진전, 3D 방송 체험, 캐리커처 그리기 등 부대 행사와, 휠체어 체험, 시각 장애 체험 등 비장애인들을 위한 장애 체험 행사도 함께 진행되어 장애인들이 겪는 불편함을 공감할 수 있다. 영화제 준비 기간 동안 자원 활동가를 모집하여 상영작 영상 및 자막 검수, 온라인·오프라인 홍보, 행사 기록 등의 활동을 한다. 행사는 총 110석 규모의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2층 공개 홀에서 진행된다. 좌석은 지정되지 않으며, 관람은 무료이다.

[현황]

2012년 6월 21일부터 23일까지 개최한 제7회 부산 장애인 미디어 축제에서는 개막작 「완득이」를 시작으로 「오직 그대만」, 「달팽이의 별」, 「도가니」, 「숨」 등 총 13개의 작품이 상영되었다.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다큐 학교에서 시민이 직접 만든 장애 인식 개선 다큐멘터리 작품 네 편도 상영되었다. 부산 장애인 미디어 축제는 영상 매체를 통해 장애인 인권 문제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는 자리이다.

[참고문헌]
  • 방송통신위원회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http://www.comc.or.kr)
  • 부산장애인미디어축제(http://cafe.naver.com/bpff)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