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너구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281
영어공식명칭 Nyctereutes procyonoides
영어의미역 Racoon
이칭/별칭 산달,구환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포유류
학명 Nyctereutes procyonoides
생물학적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포유강˃식육목˃개과˃너구리속
서식지 숲 가장자리
몸길이 50~60㎝
새끼낳는시기 3~5월

[정의]

부산광역시 산림 등지에서 서식하는 개과의 포유류.

[형태]

너구리의 몸길이는 50~60㎝, 몸높이는 20㎝, 꼬리 길이는 13~25㎝ 정도이다. 체중은 보통 4~6㎏인데, 겨울잠을 자기 바로 전에는 6~10㎏으로 늘어난다. 털은 5~10㎝이며 구불구불한 것이 많다. 겨울에는 추위를 견디기 위하여 털이 더욱 길어진다. 몸 빛깔은 전체적으로 황갈색이고 어깨·등·꼬리의 털끝은 검은색이다. 눈 주위와 발목 아래는 검은빛이며 꼬리는 덥수룩하다. 발가락은 4개이며 흔적을 보면 발톱이 함께 찍힌다. 발자국은 개와 유사한데, 가운데 발가락 2개의 아랫부분이 서로 붙는다는 것이 개와 다르다. 발자국 폭은 4㎝ 정도이며, 뒷발은 약간 더 길고 좁다. 발 폭은 2㎝ 정도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너구리는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등장한다. 사람들이 종종 ‘너구리 같은 놈이다’, ‘너구리 굴에서 여우 잡는다’, ‘너구리도 들 굴 날 굴이 있다’는 말을 사용하는데, ‘너구리 같은 놈이다’는 표현은 능청스러운 사람을 지칭하여 조금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너구리는 종종 여우와 같은 굴에서 살기도 하므로, 너구리를 잡으려다 가끔 생각지도 않은 여우를 잡는 경우 ‘너구리 굴에서 여우를 잡는다’는 말을 사용한다.

이는 너구리의 생태와도 관련이 있으며, 보기보다 실속 있는 일을 말할 때 사용한다. 또한 너구리를 잡을 때 연기를 굴속으로 피우면 굴이 여러 갈래로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는데, ‘너구리도 들 굴 날 굴이 있다’라고 하여 일을 철저히 준비해야 함을 가르치고 있다. 너구리의 생태와 관련하여 속담이 있을 만큼 너구리는 친숙한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너구리는 한자어로 산달(山獺)·구환(拘貛)이라고도 한다.

[생태 및 사육법]

너구리의 다리는 다른 포유동물에 비하여 짧고 몸집도 작은 편이며 행동도 민첩하지 않은 편이다. 천적의 공격을 받으면 개과 동물 중 유일하게 죽은 척하기도 한다. 먹이는 가리지 않는 잡식성으로 포유류 중에서는 먹이에 대한 적응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은 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성을 갖게 하여 최근에는 도시 지역에서도 살아가는 개체가 관찰되기도 한다.

도시 지역에서 개체 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적응성 이외에도 천적의 감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너구리의 천적이라 할 수 있는 포유류[늑대, 오소리, 표범, 호랑이 등]의 감소나 멸종이 너구리 개체 증가와 서식지의 확대에 따른 도시 지역 출현이라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너구리는 숲의 안쪽보다는 논밭, 도시 근처, 강가나 숲 가장자리에서 많이 서식한다. 오소리, 여우가 만든 굴속에서 여러 개체가 같이 살며 오소리나 여우와 함께 살기도 한다.

똥은 일정한 곳에 똥 자리를 만들어 수십 차례에 걸쳐 눈다. 똥 자리는 주로 길에서 떨어진 곳이나 사람들이 잘 다니지 않는 길에 둔다. 번식기는 3~5월이며 한배에 3~8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임신 기간은 60~63일이다. 야행성이지만 간혹 낮에 활동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먹이는 식물성과 동물성 모두 잘 먹는 잡식성이다. 식물성으로는 도토리 등 나무 열매를 잘 먹으며, 동물성으로는 들쥐 같은 소형 포유류를 비롯하여 양서 파충류·조류·어류·곤충류 등을 먹는다.

[현황]

지구상에 개과의 포유류는 34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개·너구리·늑대·여우·승냥이에 대한 기록이 있으나 현재 볼 수 있는 것은 개와 너구리 2종이다. 천적이 없어 도시 인근의 산림이나 하천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금정산, 백양산, 장산, 구덕산, 승학산 등 산림을 중심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초*** 정말로 잘쓰신것 같아요 제가 숙제를 하는 데 필요한 내용만 있네요ㅎㅎ감사합니다! 2017.04.2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