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048
한자 蓬萊洞一-二-三-四-五街
영어의미역 Bongnae-dong
이칭/별칭 봉래동,봉래동 1가,봉래동 2가,봉래동 3가,봉래동 4가,봉래동 5가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1가|봉래동 2가|봉래동 3가|봉래동 4가|봉래동 5가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면적 0.94㎢
가구수 6,652가구
인구(남, 여) 13,597명[남 6,706명|여 6,891명]
변천 시기/일시 1896년 - 경상남도 동래부 사중면 영선리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부 사중면 영선리에서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25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에서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4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에서 부산부 사중면 항정 1·2·3·4·5정목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7년 - 부산부 사중면 항정 1·2·3·4·5정목에서 부산부 사중면 봉래동 1·2·3·4·5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 사중면 봉래동 1·2·3·4·5가에서 부산시 사중면 봉래동 1·2·3·4·5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부산시 사중면 봉래동 1·2·3·4·5가에서 부산시 영도출장소 봉래동 1·2·3·4·5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영도출장소 봉래동 1·2·3·4·5가에서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 1·2·3·4·5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 1·2·3·4·5가에서 부산직할시 영도구 1·2·3·4·5가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영도구 봉래동 1·2·3·4·5가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1·2·3·4·5가로 개편
법정동 봉래동 1·2·3·4·5가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1·2·3·4·5가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봉래동(蓬萊洞)은 일제 강점기 부산항의 발달로 급격히 성장하여 5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행정동은 봉래 1동봉래 2동으로 분할되어 있다.

[명칭 유래]

영도 가운데에 위치한 봉래산 주봉이 닿는 곳에 있어 봉래동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1896년(고종 33) 경상남도 동래부 사중면 영선리에 속하였다. 1910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편되었다가, 1914년 부산부를 다시 부산부동래군으로 행정 구역을 조정하며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가 되었다. 1925년 영선리가 영선정(瀛仙町)으로 개칭되었고, 1944년에는 영선정이 6개 정(町)으로 분할되며 항정(港町) 1정목·항정 2정목·항정 3정목·항정 4정목·항정 5정목으로 개편되었다가, 1947년 일본식 동명을 개칭하며 봉래동 1가·봉래동 2가·봉래동 3가·봉래동 4가·봉래동 5가가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편되고, 1951년에는 영도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57년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82년에는 법정동의 구역 조정으로 봉래동 3가 일부가 봉래동 4가로, 봉래동 5가 일부가 봉래동 4가로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1·2·3·4·5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영도구의 북단에 위치하여 동남쪽은 청학동, 서남쪽은 대교동·남항동·영선동·신선동과 접한다. 북쪽은 부산만이 접한 해안이고, 남쪽에는 봉래산이 있다. 북쪽 해안가는 매립되어 넓은 평지가 조성되어 있다. 청학동봉래동 사이에 아리랑 고개가 있었는데, 현재는 도시화로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행정동 봉래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94㎢이며, 인구는 6,652가구에 총 1만 3,597명으로 남자가 6,706명, 여자가 6,891명이다 봉래동은 동의 북서쪽에 부산 대교가 있어 중구와 연결되는 영도의 중요 관문으로, 북쪽 해안가 매립지에는 ㈜HJ중공업(구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대선조선소·마스텍중공업(옛 STX조선해양 부산조선소 부지)·경남조선소 등의 조선 및 기계 공업이 밀집된 공업 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등 우리나라 조선 공업의 본산이다. 남쪽의 봉래산 기슭 고지대는 주택이 밀집되어 있다.

부산 대교 남쪽에는 봉래 교차로가 있어 서쪽으로 가면 남항동 및 남항 대교로 연결되며, 동쪽으로 가면 청학동·동삼동과 연결되는 교통 요지로 교통난이 심각하다. 현재 건설 중인 북항 대교가 개통되면 남구중구 또는 서구의 결절지로 그 중요성이 더해지며 교통난도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관내의 자연 마을로 나릿가 마을곡수 마을이 있었다. 봉래동 1·2·3가의 행정동은 봉래 1동이고, 봉래동 4가 일부와 봉래동 5가의 행정동은 봉래 2동이며, 봉래동 4가 일부는 행정동인 신선동의 관할 하에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5.04.30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2024.07.11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24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1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봉래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94㎢이며, 인구는 6,230가구에 총 1만 2,670명으로 남자가 6,270명, 여자가 6,400명이다
2020.05.25 현행화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봉래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94㎢이며, 인구는 6,281가구에 총 1만 3,108명으로 남자가 6,528명, 여자가 6,580명이다.
2019.04.29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14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