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520
한자 龍沼里
영어의미역 Yongso-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용소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리
면적 6.74㎢
가구수 111가구
인구(남, 여) 208[남 106명|여 102명]
변천 시기/일시 1789년 - 기장현 중북면 용소리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기장현 중북면 용소리에서 기장군 상북면 용소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기장군 상북면 용소동에서 동래군 장안면 용소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양산군에 통합
변천 시기/일시 1985년 10월 1일 - 양산군 장안면이 양산군 장안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양산군 장안읍 용소리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용소리로 개편
법정리 용소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용소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용소리(龍沼里)라는 지명은 마을을 지나는 용소천과 관련이 있다. 용소천은 장안의 진산인 삼각산(三角山)[472m]에서 발원하여 마을 앞을 지나 반룡에서 장안천과 합류한다. 상류 곳곳에 작은 폭포가 소(沼)를 이루고 있고, 용이 살았다는 전설을 지닌 용담(龍潭)[깊게 파인 물웅덩이]이 있다.

[형성 및 변천]

용소리는 본래 기장현에 속하였다가 1599년(선조 32) 기장현이 폐지되며 울산군에 합속되었다. 1681년(숙종 7) 다시 기장현으로 복귀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중북면 용소리로 기록되어 있으며, 1895년 기장군 상북면 용소동이 되었다가, 1914년 동래군 장안면 용소리가 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양산군에 통합되었고, 1985년 10월 1일 양산군 장안읍으로 승격하였다가,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東部出張所)가 설치되며 이 지역을 관할하였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통합되면서 기장군이 다시 설치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자연 환경]

용소리는 북동쪽으로 삼각산이 남동쪽으로 산줄기를 뻗고 있으며, 서쪽으로 뻗어 남서쪽 경계부에 있는 석은덤[544m]과 연결되며, 석은덤은 다시 남쪽으로 뻗은 줄기와 남동으로 뻗은 산줄기로 나뉜다. 이에 용소리는 높은 산줄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서쪽의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용소천을 이루며 남동쪽으로 흘러 남동쪽으로만 트여 있는 형태이다. 용소천이 흐르며 형성한 분지 곳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용소천기장군 기장읍 반룡리 일대에서 장안천에 합류한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6.73㎢이며, 인구는 111가구에 총 206명으로 남자가 100명, 여자가 106명이다. 용소리장안읍의 서쪽 중앙에 위치해 북으로는 기룡리, 동쪽으로는 반룡리좌동리, 남쪽으로는 덕선리, 동쪽으로는 정관읍 병산리와 접하고 있다. 동남쪽으로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와 기장 대로가 통과한다. 자연 마을로 용소 마을이 있다. 마을 어귀에 수관이 매우 넓은 소나무가 자생하고 있으며, 마을 북서쪽에 옛 가마터가 있다. 농업이 생업을 이루는데, 벼농사와 함께 채소 및 유실수 재배가 주를 이룬다. 용소리는 법정리와 행정리가 일치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1.16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6.74㎢이며, 인구는 108가구에 총 209명으로 남자가 106명, 여자가 103명이다
2020.07.09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6.74㎢이며, 인구는 103가구에 총 203명으로 남자가 104명, 여자가 99명이다
2019.05.08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