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각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157
한자 三角山
영어의미역 Samgaksan 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높이 469m
전구간 삼각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해당 지역 소재지 삼각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삼각(三角)’이라는 지명은 삿갓 모양의 3개의 봉우리가 동서로 나란히 있는 데서 비롯되었다.

[자연 환경]

삼각산(三角山)기장군 장안읍 동북쪽에 위치한 산으로, 대운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삼각의 주봉으로서 산정은 동서로 나란히 솟아 있는 삿갓 모양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고, 바위산 봉우리가 여러 개 솟아 있다. 산정은 둥그스레하고 소나무가 울창하며, 산기슭은 가파른 편이다.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에는 ‘삼각산은 현에서 북으로 40리에 있고, 원적산에서 산줄기가 내려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정상부의 남쪽으로 석은덤산[551m]과 산맥이 이어져 있으며 멀리 함박산·천마산·달음산 산맥이 펼쳐져 한눈에 들어온다. 그 뒤로 멀리 장산영도 봉래산도 확인되고, 북쪽으로는 대운산과 불광산이 보인다. 삼각산에서 발원해 장안천과 합류하는 용소천이 산지 곳곳에 작은 폭포와 소(沼)를 이루고 있다.

[현황]

해발 고도 469m의 삼각산 정상부의 세 암봉 중 첫 암봉 위에 올라서면 고령 김씨 묘가 있고, 동쪽으로 울산 온산 공단에서 오른쪽 고리 원전까지 동해가 펼쳐진다. 세 번째 암봉 정상에는 조그만 돌에 ‘삼각산’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서쪽으로는 해운대 CC, 동부산 CC, 에이원 CC가 형성되어 있으며 북쪽으로는 불광산 자락에 위치한 장안사 계곡과 장안사가 한눈에 들어온다.

삼각산은 높지 않고 주변에 인가가 없으며, 유적이나 유물도 없다. 그러나 옛날 인근 마을 사람들이 가뭄이 들면 이 산에서 기우제를 지내곤 했다. 삼각산은 영험이 깊은 산이어서 때로는 암장(暗葬)[몰래 매장을 하는 것]을 하기도 하였는데, 암장을 하고 나면 그해에는 가뭄이 든다하여 인근 마을 사람들이 묘를 파헤치기도 하였다고 전한다. 최근에는 불광산·대운산·삼각산에 이어 웅산으로 연결되는 등산로가 개발되어 많은 등산객들이 찾고 있다.

[참고문헌]
  • 『기장군지』(기장군지편찬위원회, 2001)
  • 『부산 지명 총람』8(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2)
  • 『부산의 자연 마을』4-기장군(Ⅱ) 장안읍, 일광·정관·철마면(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9)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금수강산(http://www.mauntin.co.kr)
  • 기장군 문화 관광(http://tour.gijang.go.kr)
  • 부산광역시 기장군청(http://www.gijang.go.kr)
  • 부산 기장 임랑 해맞이 정보화 마을(http://imrang.invil.org)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