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152
한자 外訥-
영어의미역 Oinul Village
이칭/별칭 반모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외눌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눌차리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눌차리에서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눌차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눌차리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눌차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눌차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외눌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외눌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본섬인 가덕도와 이어진 눌차도에 있는 마을이다. 눌차도 입구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외눌(外訥)이라고 하였다. 눌차도의 잘록한 부분 바깥쪽에 자리하여 밖목이라고도 하는데, 소리 나는 대로 반모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외눌 마을이 있는 가덕도 곳곳에 선사 시대 조개더미[貝塚]와 고분군 등이 발견되어 일찍부터 마을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 이곳에 가덕진(加德鎭)천성 만호진(天城萬戶鎭)이 설치되었고, 1906년 웅천군(熊天郡) 천성면가덕면으로 나누어졌다가 1908년 웅천군 천가면으로 통합되었다. 천가라는 이름은 천성 만호진가덕진의 머리글자를 딴 합성 지명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천가면창원군에 편제되면서 눌차리·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 의창군에 속하였다가 1989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강서구 눌차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외눌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외눌 마을 동쪽에 일목정(一木亭) 소나무가 있고, 서북쪽에 문필봉(文筆峯)[107m]이 자리하는데, 산의 형태가 붓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쪽과 동북쪽은 모두 바다와 접한다.

[현황]

외눌 마을은 행정동인 가덕도동 6통 지역이다. 임진왜란 때 왜장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이 쌓은 가덕 왜성이 있다. 눌차리 산꼭대기에 축성한 가덕 왜성은 가덕 산성과 약 2㎞ 떨어진 가덕 진성과 천성보(天城堡)를 견제하고, 육지에 있는 안골포 왜성에 연락하기 위해 축조한 것이다. 둔하 계단형(遁下階段形)인 전형적인 본식 축성법을 쓴 흔적이 있으나, 지금은 석축 부분만 남았고, 나머지는 경작지로 변하였다. 외눌 마을 주민들은 굴 종패 사업으로 생업을 이어가는데, 지금도 마을에 들어서면 굴 껍데기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마을 앞 동선만은 촘촘한 종패 밭이다. 2010년 완공된 거가 대교로 접근이 용이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