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080
한자 斗文-
영어의미역 Dumun Village
이칭/별칭 머글 마을,머거리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두문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천성리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천성리에서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천성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천성리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천성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천성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두문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두문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성북동 장항 마을을 벗어나 백옥포 고개를 넘으면 자갈밭 해안이 있고, 이것이 망넘골짜기로 이어지는데, 숭어를 잡을 때 이곳에서 망을 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마을 앞바다에서 청어 등 생선이 많이 잡혀 한 마리씩 헤아리기가 시간이 걸리므로 말[斗]로 매매했다는 데서 두문(斗文)이라 불렀다고 하나, 실제 주민들은 이곳을 ‘머거리’라고 부른다. 마을의 위치상 천성 마을과는 동뫼로 가로 막혀 왕래가 잦지 않는 곳으로 타 지역의 소식을 전하기도, 듣기도 힘든 곳이라 ‘머글’ 또는 ‘머거리’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두문 마을에 선사 시대 고인돌이 있어 마을이 일찍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 이곳에 가덕진(加德鎭)천성 만호진(天城萬戶鎭)이 설치되었고, 1906년 웅천군(熊天郡) 천성면가덕면으로 나누어졌다가 1908년 웅천군 천가면으로 통합되었다. 천가라는 지명은 천성 만호진가덕진의 머리글자를 딴 합성 지명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천가면창원군에 편제되면서 눌차리·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 의창군에 속하였다가 1989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강서구 천성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두문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두문 마을 동북쪽으로 마을 뒷산인 웅주봉[339m]이 있는데, 가덕도에서 연대봉[459.5m] 다음으로 높은 데다 산세가 매우 가파르다. 서쪽으로 바다에 인접하며, 남서쪽으로는 동뫼가 있다.

[현황]

두문 마을은 행정동인 가덕도동 7통 지역으로 가덕도의 서쪽, 서중 마을 북쪽에 자리 잡은 자연 마을이다. 20여 집이 바닷가에 자리하고 있다. 긴 해안에 비하여 가구 수는 얼마 되지 않아 해안을 따라 곳곳에서 미역을 말리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여름철에 개장하는 자갈밭 해수욕장에는 외지에서 많은 사람이 찾아든다. 웅주봉에는 1934년에 건립된 영주암이 있다.

시조 시인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이 폐결핵으로 투병할 때 잠시 피접한 곳으로, 이 마을에서 지어진 시가 동요로도 불리는 「고향 배」[어제 온 고깃배가 고향으로 간다기에 소식을 전차하고 갯가로 나갔더니 그 배는 멀리 떠나고 …]이다. 마을 주민의 생업은 대부분 어업으로, 앞바다에서 미역과 천초 등이 많이 생산된다. 부산과 거제 간 거가 대교를 통하여 육지와 연결되어 접근성이 용이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