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055
한자 大沙-
영어의미역 Daesa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대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갑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면적 4,058㎢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상덕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상덕리가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부산직할시 북구 강동동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강동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강동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은로 개편
관련 지명 대사 1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1통·2통
관련 지명 대사 2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3통·4통
관련 지명 대사 3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5통·6통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서낙동강이 범람할 때마다 쌓인 모래가 형성한 큰 언덕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대사리(大沙里)라고 불렀다. 대사 마을은 대사 1구, 대사 2구, 대사 3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사 1구 마을은 본래 대사 마을로 불렸고, 2구 마을은 400~500년 전에는 늪지대로 황새가 많이 서식한다고 관마(鸛馬)라고 하였다. 대사 3구인 강동동 5통은 평진(平津), 강동동 6통은 대평(大平) 마을로 불렀다.

[형성 및 변천]

대사 마을은 400~500년 전 박씨와 지씨가 개척하였다고 전한다. 본 마을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김해도호부 하동면에 속하였으며, 『구한국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1912]에는 김해군 덕도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가락면에 편입되어 김해군 가락면 상덕리에 속하였다. 이후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북구 일부와 경상남도 김해군과 의창군 각 일부를 합하여 신설된 부산직할시 강서구에 속하였다가,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에 속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사 1구 마을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 우에다 요시오[植田義夫]의 개인 농장이 개설되었는데, 1978년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으로 바뀌었고, 여기에서 1945년 부산경남화훼원예농협을 창설하였다. 대사 2구 마을은 김씨, 지씨, 유씨의 집성촌으로 갈대밭을 개간하여 벼와 보리농사를 주로 하였으나, 일제 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배 재배가 이루어지며 한때 배 산지로도 유명하였다.

[자연 환경]

서낙동강평강천 사이 삼각주상에 발달한 마을로 강동동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 서낙동강의 범람으로 형성된 모래 언덕이 핏대섬, 딴치, 영천 등의 명칭으로 남겨져 있다.

[현황]

대사 마을은 과거 하운을 이용한 나루터가 유일한 교통수단이었으나, 육로 교통이 발달하며 부산과 김해를 연결하는 교통 요지가 되었다. 마을의 북단에 남해 고속도로가 동서로 가로질러 통과하며 북부산 톨게이트가 있어 관문의 역할을 한다. 그 남쪽으로 부산 김해 간 국도 14호선과 부산 김해 간 경전철이 지난다. 국도 14호선은 교통량의 증가로 현재 왕복 8차선으로 확대되었다.

대사 1구 마을에는 대사초등학교와 대사교회, 부산강동우체국, 부산경남원예농협 본소와 화훼공판장, 양수장, 김해교[선암 다리]가 있고, 대사 2구 마을에는 강동동 주민자치센터와 강동파출소, 강동농협 본소와 하나로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 강동보건지소, 대사경결교회, 소심어린이집 등의 편의 시설이 있으며, 대사 3구 마을에는 할매 당산과 태고종 용화사가 있다. 이 지역에는 1990년대부터 사상·김해 공단 근무자들이 유입되어 급속한 도시화를 경험하였으나, 현재는 그들이 모두 떠나고 농업이 토박이들의 주 소득원이 되고 있다. 대사 1구 마을은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이 농업 기반을 제공하며, 대사 2구 마을은 깻잎 특산지로 알려져 시설 원예 농업이 발달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