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050
한자 內訥-
영어의미역 Naenul Village
이칭/별칭 안모 마을,안목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내눌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08년 - 경상남도 웅천군 천가면 눌차리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웅천군 천가면 눌차리에서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눌차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눌차리에서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눌차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눌차리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눌차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눌차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내눌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내눌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내눌(內訥) 마을은 세바지 둑으로 가덕도 본섬과 연결되어 짤록한 부분의 목[項] 안쪽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안목이라 하였는데, 소리 나는 대로 안모라고도 부른다. 한자 지명은 본섬인 가덕도(加德島)를 중심으로 해서 안쪽에 있는 마을, 곧 눌차도(訥次島)의 안쪽에 있다고 하여 내눌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내눌 마을이 있는 가덕도 곳곳에 선사 시대 조개더미[貝塚]나 고분군 등이 발견되고 있어 일찍부터 사람들이 살았으리라 추측된다. 조선 시대에 이곳에 가덕진(加德鎭)천성 만호진(天城萬戶鎭)이 설치되었고, 1906년 웅천군(熊天郡) 천성면가덕면으로 나누어졌다가 1908년(순종 2) 웅천군 천가면으로 통합되었다. 천가라는 지명은 천성 만호진가덕진의 머리글자를 딴 합성 지명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천가면창원군에 편제되며 눌차리·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 등으로 구성되었고, 1980년 의창군에 속하였다. 1989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어 강서구 눌차동이 되었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눌차동 내눌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내눌 마을 뒤쪽으로 국수봉[138m]이 있고, 동남쪽으로는 가덕도 본섬인 동선동 세바지를 향해 뻗어 있는 사구와 모래로 이루어져 있는 새받이들 곶이 있다. 서쪽은 외눌 마을과 접하고, 동남쪽 해안에 탕수구미가 있다.

[현황]

내눌 마을 주민들은 바다와 더불어 생업을 이어왔으나, 현재는 어업이 퇴조하며 굴 종패 사업을 주로 한다. 지금도 마을에 들어서면 굴 껍질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마을 앞 동선만 전부가 촘촘한 종패(種貝) 밭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