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목도의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779
한자 牧島義塾
영어음역 Mokdouisuk
영어의미역 Mokdo Residenta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강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교육 기관
설립 시기/일시 1922년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목도의숙 - 부산광역시 영도구

[정의]

1922년 부산 영도에 설립된 사립 교육 기관.

[설립 목적]

의숙(義塾)이란 기금을 모아 건립한 교육 기관이라는 뜻이다. 일제 강점기 일본인 학교의 재정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학교 조합이 설립되자 조선인 유지들 역시 조선인 교육을 위하여 기금을 모아 사립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러한 사립 학교들은 야학, 의숙, 학원 등의 형태로 설립되었다. 1922년 목도의 유지인 김용근 외 다수 명이 당 지역의 불취학 아동의 교육을 위하여 기금을 모아 설립하였다.

[변천]

1922년 설립 이후 몇 번의 재정난을 보인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김용근 외 지역유지들의 노력으로 학교를 유지하였다. 『동아 일보』 1926년, 1929년 기사에 목도의숙(牧島義塾)의 이름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계속해서 학교를 유지하고 교육 사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폐교 시기는 알 수 없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당시 사립 학교들의 교육 과정은 보통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불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보통학교의 교과 과정과 대동소이 하였다. 또한 동 시기 설립된 사립 학교들은 대부분 지역 청년회에서 경영하였기에 다분히 민족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교육을 시행하였다.

[의의와 평가]

일제 강점기 부산 목도, 지금의 영도 지역은 당시 부산, 동래 지역에서 동떨어진 지역이었으나 목도보통학교목도의숙 등을 통한 교육 사업이 활발하였다. 특히 목도의숙에서 시행한 야학이 대성황을 이루었다는 기사도 발견된다. 이러한 점은 당시 조선인 유지들의 사립 학교 설립 의지가 무척 강했으며 공립 보통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의지도 무척이나 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