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육영의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778
한자 育英義塾
영어음역 Yukyeonguisuk
영어의미역 Yukyeong Residenta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강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교육 기관
설립자 부산영주동청년친목계
설립 시기/일시 1922년 4월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육영의숙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정의]

1922년 부산 영주 지역에 설립된 사립 교육 기관.

[설립 목적]

의숙(義塾)이란 기금을 모아 건립한 교육 기관이라는 뜻이다. 일제 강점기 일본인 학교의 재정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학교 조합이 설립되자 조선인 유지들 역시 조선인 교육을 위하여 기금을 모아 사립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러한 사립 학교들은 야학, 의숙, 학원 등의 형태로 설립되었다. 육영의숙(育英義塾)은 1922년 4월 부산영주동친목계가 주도하여 보통학교에 입학하지 못한 불취한 아동들의 교육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육영의숙은 창립 이후 꾸준한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사료는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1929년 『동아 일보』의 「십년일람, 현저히 발달된 찬연한 지방 문화」라는 기사에 동 시기에 설립된 목도의숙(牧島義塾)에 대한 소개는 확인되지만 육영의숙은 소개되지 않고 있음을 볼 때 그 이전에 학교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아예 폐지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당시 사립 학교들의 교육 과정은 보통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불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보통학교의 교과 과정과 대동소이 하였다. 또한 동 시기 설립된 사립 학교들은 대부분 지역 청년회에서 경영하였기에 다분히 민족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교육을 시행하였다.

[의의와 평가]

의숙은 지역 청년회가 주로 경영을 맡는 경우가 맡았다. 육영의숙 역시 부산 영주동에서 창립된 민족 교육 기관이었다. 이러한 의숙을 비롯한 사립 교육 기관의 등장은 1920년대 청년회 활동과 접목되어 민족의식을 가진 인재들을 양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