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408
한자 釜山鎭高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jin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산진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94번길 54[초읍동 54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명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810-0509
홈페이지 부산진고등학교(http://www.pusanjin.hs.kr)
인가 시기/일시 1967년 10월 5일 -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68년 3월 12일연표보기 -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로 개교[개성중학교 구내]
이전 시기/일시 1973년 11월 1일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389-25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 94번길 54[초읍동 541-1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74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에서 부산진고등학교로 개칭[일반계 고등학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2월 24일 -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
최초 설립지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389-25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 94번길 54[초읍동 541-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진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 94번길 54[초읍동 54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올바른 인성과 학력, 지도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교훈은 ‘바르고 굳세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변천]

1967년 10월 5일에 부산개성종합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8년 3월 12일에 부산진구 부전동의 개성중학교 구내에서 개교하였다. 1973년 11월 1일에 부산진구 초읍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으며, 1974년 3월 1일에 부산진고등학교[일반계]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3월 1일에 제17대 김형두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43회 졸업식을 통해 314명이 졸업하여 총 2만 52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진고등학교는 배려와 돌봄의 인성 교육과 체험 위주의 봉사 활동, 그린 마일리지제를 활용한 과학적 생활 지도 등을 통한 올바른 인성 함양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교육 과정 운영의 충실과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육의 내실화, 독서 교육 생활화 등을 통한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학력 신장을 꾀하고 있다. 아울러 학생 자치 활동의 강화와 민주적 학교 공동체 실현, 소통과 참여의 학교 문화 조성 등을 통한 미래 사회를 주도할 지도력 함양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2010년 2월 24일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되어 운영하고 있다.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란 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법의 전인 교육을 시도하는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가 육성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립 고등학교이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동섭/작곡 박용흠]

백양대 새벽빛에 푸른 꿈 높고/ 의젓이 닦은 혜지 오롯한 성터/ 금련산 그 울림에 포부 영그니/ 겨레의 소망 이뤄 역사 빛내리/ 한뜻으로 영광되라 갸륵한 전당/ 태양으로 밝히어라 우리 부산진고.

2. 교목: 은행나무이다.

3. 교화: 매화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9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87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9학급에 269명, 2학년은 10학급에 302명, 3학년은 10학급에 300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64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9명으로 총 85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2만 8953㎡로, 도서관, 방송실, 정독실, 체력 단련실, 탁구장, 골프 연습실, 스마트 교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