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135
한자 金井高等學校
영어의미역 KeumJeong High School
이칭/별칭 금정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로63번길 60-14[명장동 43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종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521-3111
홈페이지 금정고등학교(http://keumjeong.hs.kr)
인가 시기/일시 1986년 12월 22일 - 금정고등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87년 3월 5일연표보기 - 금정고등학교로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2일 -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
최초 설립지 금정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로 63번길 60-14[명장동 432]지도보기
현 소재지 금정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로 63번길 60-14[명장동 43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전인적 품성과 창조적 지성으로 미래 사회를 주도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진취적 기상으로, 진리를 탐구하여, 자아를 실현하자’이다.

[변천]

1986년 12월 22일에 금정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7년 3월 5일에 동래구 명장동에서 개교[36학급]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24회 졸업식을 통해 322명이 졸업하여 총 1만 152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금정고등학교는 자기 관리 능력과 진로 개발 능력 중심의 개인적 역량을 갖춘 인재, 의사소통 능력, 대인 관계 능력, 시민 의식 중심의 사회적 역량을 갖춘 인재, 창의력·문제 해결 능력 중심의 학습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자율과 열정, 신뢰의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이웃을 배려할 줄 아는 심성을 기르며, 학습 역량을 키우는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미래 사회 대비 진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0년 3월 2일에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법의 전인 교육을 시도하는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가 육성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교과부]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창근/작곡 오상오]

영롱하다 금정 요람 찬란한 아침/ 온 누리 펼쳐지는 넘치는 슬기/ 스스로 뜻을 심어 하늘을 연다/ 산맥은 휘달리는 우리의 기상/ 역사의 소명으로 영원을 기억하며/ 금정고교 그 이름을 길이 새긴다.

2. 교목: 향나무이다. 자기 발전을 위해 은근하고 끈기 있게 노력하는 푸른 꿈을 지닌 청소년을 상징한다.

3. 교화: 매화이다. 역경 속에서도 의지를 갖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삶을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2학급에 850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0학급에 270명, 2학년은 인문계 4학급에 129명, 자연계 7학급에 158명, 3학년은 인문계 5학급에 121명, 자연계 6학급에 172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60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9명으로 총 81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5358㎡로, 도서실, 정독실, 시청각실, 체력 단련실, 컴퓨터실, 화학실, 생물실, 음악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