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733 |
---|---|
한자 | 鳴藏洞 |
영어의미역 | Myeongja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1.78㎢ |
가구수 | 12,536가구 |
인구(남, 여) | 26,914명[남 12,957명|여 13,957명] |
변천 시기/일시 | 1740년 - 동래부 읍내면 명장리가 됨 |
변천 시기/일시 | 1832년 - 동래부 동면 명장리가 됨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10월 1일 -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리가 됨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법정동 | 명장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명장동(鳴藏洞)의 지명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인근의 명창리와 같이 명편을 간수하였던 곳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명편(鳴鞭)은 옛날 의장 때 쓰는 기구의 하나로 이를 흔들어 소리를 내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정숙하게 하는 물건으로 일명 정편이라고도 한다. 동래 부사는 동래 독진(東萊獨鎭)을 지휘하여 동래뿐만 아니라 인근 양산과 기장의 군사까지 호령하였는데, 이때 사용하던 명편을 이곳에 간수하게 하였다 하여 명장이라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읍내면 동부에 속한 명장리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 방리조에 동면에 속한 명장리가 나타난다. 1910년 동래읍에 속하였다가, 1942년 10월 1일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리가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편되었고, 1957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 1963년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이 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자연 환경]
명장동은 동으로 옥봉산[134m], 서로는 동래읍성의 주산인 마안산이 있다. 양 산지 사이로 중앙에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산지로부터 흐르는 소하천들은 대부분 동쪽으로 흘러 수영천으로 유입하나 대부분 복개되어 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 명장 1,2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1.78㎢이며, 인구는 1만 2,536가구에 총 2만 6,914명으로 남자가 1만 2,957명, 여자가 1만 3,957명이다. 자연 마을로 개구리 마을과 북문밖동네 마을이 있다. 명장동은 동래구의 북동부에 위치해 동으로 해운대구, 북으로 금정구와 접해 있고, 서쪽은 명륜동·복산동, 남쪽은 안락동과 경계를 이룬다. 조선 시대 동래읍성의 동북쪽 경계부에 있던 성 밖 마을이다. 도시화가 되기 전까지는 미나리 밭과 야산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1975년 구획 정리 사업 이후 주거지로 변모하였다. 특히 1980년 이후부터 아파트가 들어서고 교육 기관이 설립되면서 급속한 인구 증가가 이루어졌다.
중앙을 안락 교차로와 반송을 잇는 간선 도로가 지나고, 최근 간선 도로 지하로 도시 철도 4호선이 개통되었으며, 명장역이 있다. 또한 조선 시대에 형성된 동래읍성의 인생문 고개를 거쳐 복천동으로 이어지는 옛 도로가 뚜렷하게 남아 있다. 명장동의 행정동은 명장 1·2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반송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경계로 동쪽이 명장 1동, 서쪽이 명장 2동에 해당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5.09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15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08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8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78㎢이며, 인구는 1만 2,880가구에 총 2만 9,691명으로 남자가 1만 4,464명, 여자가 1만 5,227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78㎢이며, 인구는 1만 2,816가구에 총 3만 323명으로 남자가 1만 4,825명, 여자가 1만 5,498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