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1104 |
---|---|
한자 | 北門- |
영어의미역 | Bungmunbakdongnae Village |
이칭/별칭 | 북문외(北門外) 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북문밖동네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정형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명장리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명장리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8월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1월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명장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1월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0년 1월 - 행정동인 명장 2동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북문밖동네 마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북문밖동네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동래읍성의 북문 밖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전기 동래읍성은 지금의 동래 시장 본 상가 건물 일원을 중심으로 지름 400m 정도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대부분 허물어졌다. 이후 부분 보수되다가 1731년(영조 7) 동래 부사 정언섭(鄭彦燮)에 의해 지금 남아 있는 터와 비슷하게 마안산을 포함하는 일원까지 확장되어 쌓아졌다. 이때 동래읍성 북문도 복천박물관 서북쪽에 있는 현재의 자리에 쌓아졌고, 이 문 밖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름이 유래하게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북문밖동네[北門밖동네] 마을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1731년 동래읍성이 그 이전보다 훨씬 크게 확장되면서 현재의 위치에 북문이 들어선 이후 생겨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동네는 동래 시장에서 복천동 고분군을 지나 인생문 고개를 넘어가면 바로 만날 수 있는 명장초등학교 일원에서 대명여자고등학교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북문밖동네 마을은 19세기에는 주로 동래부 동면 명장리에 소속되었다.
1904년 북문밖동네 마을이 속한 명장리가 동상면 명장동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3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명장리가 되었다. 1942년 10월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명장동, 1949년 8월에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명장동, 1957년 1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명장동, 1963년 1월 부산직할시 동래구 명장동이 되었다. 1990년 1월 행정동인 명장 2동에 편입되었고, 1995년 1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북문밖동네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북문밖동네 마을의 서쪽과 북쪽은 마안산으로 막혀 있고, 동남쪽은 완경 사면으로 온천 입구 사거리로 통하는 고갯길이 있다.
[현황]
북문밖동네 마을은 마안산 체육공원 아래에 있었던 마을로, 과거 이 동네를 통해 기장군의 각종 농산물과 해산물이 동래 시장에 팔리기도 하였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개발이 되지 않은 농촌 지역이어서 마을 사람들은 주로 채소를 동래 시장에 팔아 생계를 유지하였다. 주택지 개발 등으로 논밭이 모두 사라진 후에는 스테인리스 공장이나 각종 가내 공장 등 소규모 공장이 밀집되면서 옛 마을의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지금은 명장초등학교 등의 학교가 있고, 시싯골에서 명장 2동으로 넘어가는 길, 또는 인생문 고개를 통해 명장동으로 넘어가는 길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주로 마을버스를 이용해 버스나 도시 철도 1·4호선 등 대중교통과 연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