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891
한자 長安寺冥府殿
영어의미역 Myeongbu-jeon Hall at Janga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장안리 59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연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744년연표보기 - 장안사 명부전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3월 26일연표보기 - 장안사 명부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6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장안사 명부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장안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장안리 598]지도보기
성격 불전
양식 맞배지붕 집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2칸
소유자 장안사
관리자 장안사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장안사에 있는 조선 후기 중건된 불교 건축물.

[위치]

장안사(長安寺) 명부전(冥府殿)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에 있다.

[변천]

장안사는 673년(문무왕 13) 원효 대사(元曉大師)에 의해 창건되었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의해 소실되었다. 1638년(인조 16) 태의 대사(太義大師)가 중건하였다. 장안사 명부전의 중건과 관련하여 2010년 10월 현장 조사에서 종도리 하단에 적힌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어 머리글 부분 10행 정도가 확인됨으로써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있다.

묵서명에 따르면 임진왜란 피해를 복구하던 1600년대 중반에 건립된 후 1744년(영조 20) 대웅전의 서까래를 수리하면서 명부전도 중건하였다. 1800년(정조 24)에 상연(上椽)을 수리하였으며, 그 후에는 수리 공사가 없었다. 명부전은 정면 상인방(上引防)과 문선의 맞춤 방식이 비교적 오래된 건물에서 볼 수 있는 고식(古式)의 반연귀 맞춤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1744년의 중건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건축 형식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공포도 비교적 오래전 형식인 출목 없는 삼익공(三翼工)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부재들도 모두 1800년 수리 때 또는 그 이전 1744년 중건 때인 것으로 보존 상태가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고, 출입구를 바라보며 ㄷ자형으로 불단을 배치하였다.

[현황]

명부전은 시왕전(十王殿) 또는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한다. 1684년(숙종 10)에 조성된 석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도명존자상과 무독귀왕상, 시왕을 협시로 한 지장시왕상 13구와 함께 동녀상·귀왕상·판관상·사자상·역사상이 좌우로 각 1구씩 배치되어 있으며, 지장 삼존상 뒷면에는 1856년(철종 7)에 제작된 장안사 명부전 지장보살도가 봉안되어 있다. 장안사 명부전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6호, 장안사 명부전 석조지장시왕상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6호, 후불탱화인 장안사 명부전 지장보살도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되어 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장안사 명부전은 조선 후기 부산 지역의 사찰 건물에 구사된 건축 수법과 부불전(副佛殿)의 건축 형식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부산 지역 건축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