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859
한자 休休靜舍
영어의미역 Hyuhyujeo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나철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찰
창건자 자수
전화 051-508-3122
건립 시기/일시 1983년연표보기 - 종신 수도원을 휴휴정사로 명명
최초 건립지 휴휴정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의 전각.

[건립경위 및 변천]

본래 휴휴정사(休休靜舍) 자리에는 극락암(極樂庵)이라는 조그마한 암자가 있었다. 극락암은 1694년(숙종 20)에 승려 자수(子秀)가 창건하였던 것을 1708년에 승려 퇴은(退隱)이 중건하였다고 전하나 그 뒤의 내력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후 1981년 극락선원으로 중창하여 1982년 종신 수도원을 개원하여 9명의 승려가 수행 정진하였다. 1983년 종신 수도원을 휴휴정사라 이름하고 수행 정진하는 승려들이 사용하였다. 2004년부터 사찰 문화를 체험하는 템플 스테이가 운영되는 중심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휴휴(休休)’라는 말은 편안하게 쉬고 마음을 잠시 내려놓고 쉬라는 의미로 마음의 평화를 얻고 돌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지어진 명칭이다.

[활동사항]

극락암이라는 조그만 암자에서 선원으로 중건된 이후 선원의 역할을 수행해 오다 근래 들어와 템플 스테이 전용 공간으로 어린이, 청소년, 일반인, 외국인 등이 한국의 정신문화와 사찰 문화를 느끼고 경험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황]

휴휴정사는 정면 여덟 칸, 측면 네 칸에 팔작지붕을 올렸는데 오른쪽에 있는 정면 다섯 칸, 측면 세 칸의 요사와 전방의 정면 여덟 칸, 측면 두 칸의 염화실 및 서지전과 선원 일곽을 형성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부*** 정말 좋은 시민정서 프로그램입니다
종교는 다르지만 언젠가 한번 들러보고 싶은 공간입니다
잠시 쉬었다 가고싶은 휴휴정사
사랑합니다
2019.07.2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