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841 |
---|---|
한자 | 花鬪- |
영어의미역 | After-party for Hwatu[Korean Gambling Card Game] |
이칭/별칭 | 「화투 노래」,「화토 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금정구|연제구|기장군 |
집필자 | 류경자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금정구, 연제구, 기장군 등지에서 화투를 소재로 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개설]
「화투 뒤풀이」는 화투의 월별 그림에 맞춰 말놀이를 하면서 즐기는 달거리식[月令體] 언어 유희요이다. 이를 「화투 노래」, 「화토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언어 유희요란 말을 이용한 말놀이나 말장난을 통해 놀이 효과를 상승시키는 노래로, 노랫말 자체를 유희의 수단으로 삼기 때문에 사설의 내용이 바로 놀이의 대상이 된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1년 7월 13일 부산대학교 조사팀이 부산광역시강서구 대항동 대항 마을 주민 이소전[여, 78], 1993년 7월 13일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조리 마을 주민 배옥식[여, 64], 1997년 1월 14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 중리 마을 주민 정석구[남, 69] 등으로부터 각각 채록한 것이다.
또한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도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10월 15일 동아대학교 조사팀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주민 성진영[남, 70]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화투 뒤풀이」는 대부분이 「창부 타령」 가락에 얹혀 독창이나 제창으로 불린다. 제보자에 따라 사설의 내용이나 노래의 길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화투 뒤풀이」의 노랫말은 화투장에 그려진 동물이나 꽃 등을 소재로 읊으면서 언어유희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내용]
정월솔가지 속속한마음 이월매조에 맺어놓고/ 삼월사꾸라 산란한마음 사월흑사리가 허송하다/ 오월난초 나비가날라 유월목단에 춤잘춘다/ 칠월홍돼지 홀로서눕어 팔월공산에 달떠온다/ 구월국화 굳은마음 시월단풍에 떨어져서/ 오동추야 오시는손님 섣달비맞아 못오시나[조리 마을 배옥식의 노래].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화투는 열두 달을 상징하는 12종류 48장으로 되어 있는 놀이용 딱지로서 추석과 설날의 명절이나 상갓집 등에서 주로 행해지는 오락 도구이다. 19세기 말 혹은 20세기 초에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지금까지 서민들 사이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노년층 부녀자 사이에서는 널리 유행하여 화투를 주제로 한 노래는 물론, 화투를 가지고 보는 점괘도 전승되고 있다.
[현황]
유희요는 노동요나 의식요 등에 비해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에 변함이 없어 그 모습이 잘 유지되고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투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민중들의 놀이이기 때문에 쉽게 노래와 연결되는 까닭에 화투를 노래한 「화투 뒤풀이」는 부산 지역에서도 널리 애창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투는 개화기에 일본에서 유입된 성인의 외래 놀이 문화이다. 삶의 희로애락을 화투의 열두 패에 비유하며 부르는 「화투 뒤풀이」는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어 전승의 폭이 넓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