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판 모양 쇠도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730
한자 板模樣-
영어의미역 Plate-shape Iron Ax
이칭/별칭 판상철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
집필자 안해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쇠도끼
재질

[정의]

부산 지역에서 출토되는 원삼국 시대부터 등장하는 납작한 판 모양의 쇠도끼.

[개설]

부산 지역에서는 원삼국 시대 널무덤[木棺墓] 군집 고분군의 조사 사례가 없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판 모양 쇠도끼[板狀鐵斧]가 드물다. 노포동 나 지구 널무덤에서 1점, 기장 방곡리 1호 널무덤에서 3점이 확인되었으며, 최근에는 온천동 Ⅱ 유적 널무덤 1호에서 1점이 확인된 바 있다. 기장 방곡리 1호 널무덤의 경우 대형과 소형의 판 모양 쇠도끼가 함께 확인되어 주목된다.

[형태]

부산 지역의 판 모양 쇠도끼는 타 지역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확인되고 있다. 판 모양 쇠도끼는 양날을 지닌 납작한 판 형태의 철제 도끼로 원삼국 시대 널무덤에서 주로 확인되는 철기류이다. 주로 벌목 도구나 자귀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판 모양 쇠도끼는 평면 위치에 따라 인부(刃部)와 신부(身部), 기부(基部)로 구성된다. 인부는 날, 신부는 몸통, 기부는 도끼의 끝 부분이다.

판 모양 쇠도끼의 평면 형태는 사다리꼴이 일반적이며, 날 부분의 평면 형태는 직선적인 것과 곡선적인 것으로 구분된다. 기부의 평면 형태는 곡선형과 직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부의 측면 형태는 대부분 직선형으로 확인된다. 두께는 0.5~1.5㎝가 대부분인데, 길이가 길수록 두께도 비례하여 두꺼워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특징]

부산 지역의 경우 비교적 이른 시기의 널무덤에서 판 모양 쇠도끼가 확인되고 있다. 대량의 매수를 매납하는 경상북도 지역에 비해 비교적 소량의 매수가 매납되며, 피장자가 안치된 관 내부가 아닌 관 바깥의 충전 공간에 유물이 매납되는 점이 특징적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배** 한자명 수정

板模樣- → 板模樣鐵斧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 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8.1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