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야야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659
한자 -夜學
영어의미역 Cheongya Night School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야학
설립자 강병철
설립 시기/일시 1979년연표보기 -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79년연표보기 - 해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 성안교회야학, 밀알야학과 교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9년 - 부산대학교 아카데미 회원으로 강학 구성
최초 설립지 청야야학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영도사회관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에 있었던 노동 야학.

[설립 목적]

1979년 봄에 노동자의 현실 인식과 계급적 각성을 통하여 노동 현장의 활동가를 육성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성안교회야학의 강학(講學)[야학의 교사]이었던 강병철이 주도하여, 부산대학교 학술 동아리인 아카데미의 회원을 중심으로 강학을 구성하였다.

[변천]

청야야학밀알야학과 비슷한 시기에 함께 영도에 만들어진 노동 야학이다. 장소는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부근의 영도 사회관[영도 출신 예춘호 전 국회 의원이 만든 문화 센터 성격의 건물]을 야간에 빌어 사용하였다. 1979년 겨울까지 운영하였으나 건물 관리인이 야간에 건물 관리가 힘들다고 보고하여 정리하게 되었다. 이후 일부 강학들은 교류가 있던 밀알야학에 합류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79년 봄 성안교회야학과 야유회를 같이 가는 등 긴밀하게 교류하였다. 강학 대부분이 학생 운동에 관여하고 있었다.

[의의와 평가]

청야야학은 초기 노동 야학의 실태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성안교회야학, 밀알야학 등 초기 노동 야학들의 교류 실태에 대해 알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