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밀알야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34
한자 -夜學
영어의미역 Mial Night School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로6번길 11[봉래동 3가 12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야학 단체
설립 시기/일시 1979년 1월 14일연표보기 -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9년 - 부산수산대학 학생 강학으로 참여
최초 설립지 봉래성당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3가 120지도보기

[정의]

1979년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3가에 설립되었던 노동 야학.

[설립 목적]

밀알야학은 1979년 1월 14일 검정고시를 대비하는 검정고시 야학의 성격과 노동자의 계급적 각성을 통한 현장 활동가의 육성이라는 노동 야학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설립되었다. 성안교회야학의 강학(講學)[야학의 교사] 중에서 영도에 거주하던 이들이 발의하여 개설하였다.

[변천]

밀알야학성안교회야학과 친밀히 교류하던 허종석이 주도적으로 강학들을 모집하여 부산 지역의 대학 연합 서클인 성아회의 회원을 중심으로 강학을 구성하였다.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학생들이 많이 참가하였고, 당시 부산직할시 영도구의 봉래성당에서 첫 입학식을 가졌다. 1980년 말 시국 상황이 긴박해지고 학생 수가 줄면서 위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검정고시 과목을 강화하는 등의 대응으로 학생 수가 늘어나면서 활성화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검정고시 야학과 노동 야학의 성격을 병행한 때문에 밀알야학의 교과 및 학제는 색다른 형태로 운영되었다. 밀알야학은 2학년제로 운영되었는데, 1학년에는 검정고시 과목을 위주로 가르쳤다. 2학년이 되면 작문과 토론, 법규 등의 과목을 넣어 근로기준법을 알려주는 등 노동 야학의 성격을 띠었다. 강학의 수도 20여 명에 이르렀으며 영도에 있던 청야야학이 정리되면서 청야야학의 강학 일부가 밀알야학에 흡수되었다.

1985년 이후 부산 지역에서 통합 노동 야학이 조직된 후에도 밀알야학은 다른 야학과의 교류나 연대 없이 개별 야학으로 활동하였다. 그런 가운데 내부적으로 강학들의 사회 인식도 깊어지고, 김민기가 연출한 음악극으로 1979년에 초연된 「공장의 불빛」을 각색하여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졸업 공연이나 개교 기념 행사, 졸업생들과 재학생들이 함께 하는 ‘만남의 날’ 행사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졸업생 모임과 선배 강학의 모임 등이 오래토록 유지되었고, 내부적인 결속력도 좋았다.

[의의와 평가]

밀알야학은 검정고시 야학과 노동 야학의 성격을 병행한 색다른 사례다. 또한 1985년 이후 통합 노동 야학이 조직된 뒤에도 개별 단위 야학으로 활동한 드문 경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