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591 |
---|---|
한자 | 鐵馬面瓦餘- |
영어의미역 | Bieum-gol Valley in Cheolman-myeon Wayeo Village |
이칭/별칭 | 「비음골」[와여 마을]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
집필자 | 조정효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에서 비음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철마면 와여 마을의 비음골」은 오씨 부부가 고승이 알려준 대로 부모의 묘를 쓰고 집을 지어서 부자가 되었다는 풍수담이자 발복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1년 기장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기장군지』에 「비음골」[와여 마을]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정확한 채록 시기와 채록 장소는 분명하지 않다.
[내용]
옛날 어느 노승이 철마면 와여리(瓦餘里) 비음골에 해주 오씨 부부를 안내하여 산기슭에는 부모의 산소를 쓰고, 10여 채의 초가집이 있는 한가운데에 큰 기와집을 지어 살면 큰 부자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그 말을 듣고 땅을 파자 그 속에서 이상한 빛이 나더니 새 세 마리가 나와서 두 마리는 부모의 음택 자리에 앉고 한 마리는 고승이 말한 마을의 양택 자리에 앉았다. 두 마리의 새가 앉은 곳은 부모의 산소로 정하였으나 한 마리의 새가 앉은 곳은 여러 채의 집들이 모여 있어 새로 저택을 지을 수는 없었다. 그런데 마침 그 해 겨울 불이 나서 10여 채의 집들이 모두 불타 버리자 오씨 부부는 그곳에 저택을 지을 수 있었다. 이후 하루가 다르게 재산이 불어나 광복 후까지도 그 재력이 대단하였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철마면 와여 마을의 비음골」의 주요 모티프는 ‘해주 오씨 집안의 명당 발복’이다. 「철마면 와여 마을의 비음골」 이야기는 풍수지리 사상을 기반으로 한 명당 모티프를 기본 축으로 하고 있다. 보통은 양택 풍수[집터의 길흉을 판단하는 풍수]와 음택 풍수[묏자리의 길흉을 점쳐 판단하는 풍수] 중에서 하나만을 얻어 부자가 된다는 양상으로 진행되는데 「철마면 와여 마을의 비음골」은 양택 풍수와 음택 풍수의 명당 모두를 얻게 되어 거부(巨富)가 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