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천마산 용굴 전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575
한자 天馬山龍窟傳說
영어의미역 Legend of the Dragon Cave in Cheonma Mountai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집필자 조정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신이담|지명 유래담
주요등장인물
모티프유형 승천하는 용과 관련된 지명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2년 1월 13일 - 신학수[남, 77]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6년 12월 - 『해운대 민속』에 「천마산 용굴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
관련 지명 천마산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지도보기
관련 지명 용굴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채록지 송정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 마을에서 천마산의 용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천마산 용굴 전설」은 용이 승천한 후 용이 있던 자리에 생긴 굴이라고 하여 용굴이라고 부른다는 신이담이자 지명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6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 간행한 『해운대 민속』에 「천마산 용굴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2년 1월 1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신학수[남, 77]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천마산에는 용굴이 있다. 지금[1992년 채록 당시]으로부터 80여 년 전 음력 섣달 스무 나흗날에 큰비가 왔다. 그때 갑자기 전에 없던 굴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때 굴 옆에는 작은 돌문이 솟아 있었는데, 비가 크게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문에는 불이 활활 타올랐다. 비가 갠 후 그 자리에 가 보니 굴속에서는 물 흐르는 소리가 났다. 바로 거기서 용이 나와 하늘로 올라간 것이었다. 그리고 용이 없어진 자리가 굴이 된 것이었다. 그래서 그 굴을 용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최근에는 거의 막혔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천마산 용굴 전설」의 주요 모티프는 ‘승천하는 용과 관련된 지명’이다. 전국적으로 용의 승천으로 말미암아 붙여진 지명은 무수히 많다. 송정동 송정 마을에서 채록한 「천마산 용굴 전설」 역시 ‘용’ 모티프를 기반으로 한 신이담이다. 본래 용은 물과 관계가 깊기 때문에 대개의 용 설화는 물이 풍부한 곳에서 나타난다. 「천마산 용굴 전설」에서도 용의 등장에 앞서 큰비가 내렸으며, 용의 승천 이후에도 물이 흐르는 소리가 났다고 한다. 또한, 증거로 실재하는 천마산과 용굴이 그 진실성을 높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