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천도교 부산시교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572
한자 天道敎釜山市敎區
영어의미역 Catholic Diocese of Cheondogyo, Busan, Korea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251번길 13[초량동 169-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종교 교구
설립자 박찬표
전화 051-867-8701
설립 시기/일시 1932년 7월 20일연표보기 - 천도교 부산종리원 창립
개칭 시기/일시 1945년 8월 15일 이후연표보기 - 천도교 부산종리원에서 천도교 부산시교구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0년 7월 18일 - 천도교 전교실 설치
최초 설립지 천도교 전교실 - 부산광역시 동구 영주동 6
주소 변경 이력 천도교 부산종리원 - 부산광역시 동구 영주동 6
현 소재지 천도교 부산시교구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51번길 13[초량동 169-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천도교 소속 교구.

[설립 목적]

일제 강점기에 부산 지역의 민중들에게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천도교를 전도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변천]

1930년 7월 18일 인암 박찬표(朴瓚杓)가 부산시 동구 영주동 6번지에 설치한 전교실이 1932년에 7월 20일 천도교 부산종리원으로 승격되어 오늘날 천도교 부산시교구의 원형이 마련되었다. 1932년 청년당 부산지부를 조직하고, 8·15 이후 명칭을 천도교 부산시교구로 바꾸었다. 1946년 부산시 동구 초량동으로 교구를 이전하였으며, 1946년에 김해 전교실을 설치하고, 1947년 부인회[오늘날의 여성회]를 조직했으며, 1957년에 소년회를 창립했다. 1966년 청년회 유소년부[오늘날의 어린이회]를 조직하고, 1966년 학생회를 조직하였다. 1983년 새인간장학회를 설립하고 1984년 교구를 신축 준공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5년에 장년회를 창립하였으며, 1991년에 상주 전교실을 개원[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하고, 1992년에 원동수도원을 개원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천도교 부산시교구의 주요 사업은 장년회, 여성회, 청년회, 학생회, 어린이회 사업이다. 장년회는 만 45세 이상의 남성으로 구성되어 교구 운영과 부문 단체 지원 및 수도원 정화 사업 등의 활동을 한다. 여성회는 25세 이상의 기혼 여성으로 구성되어 교구 행사 지원, 사회봉사 활동, 시일식 식사 제공, 합창단 활동 등을 한다. 청년회는 만 18세부터 45세 이하의 남자와 미혼 여성으로 구성되어 교구 운영과 학생회 및 어린이회 지도, 대학생단 활동 등을 한다. 학생회는 중·고등학교 학생으로 구성되어 합창단에 참여하고, 학생 회지 등을 발간하며 학예회를 개최한다. 어린이회는 유아부터 초등학교 학생으로 구성되어, 어린이 시일식과 동계·하계에 개최되는 어린이 한울학교에 참가한다.

교육 기관으로는 천도교의 종지에 따라 인재를 길러내는 동천고등학교부산예술대학교가 있고, 천도교 부산시교구를 비롯하여 동부산교구, 동천교구, 대연교구, 부산남부교구, 북부산교구, 송도교구, 김해교구가 있다.

[의의와 평가]

천도교 부산시교구는 부산 지역에 천도교 교리를 펴기 위한 종교 운동의 중심이다. 이에 동학 혁명 운동의 반침략·반봉건 정신을 이어받아, 시민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부당한 군사 독재나 부조리한 사회에 항거하는 민족 종교라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천도교 부산시교구(http://www.chondobs.or.kr)
  • 인터뷰(천도교 부산시교구 포덕사 동덕 정덕재, 2011. 11. 2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