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처남·자형 화답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568
한자 妻男-姊兄和答歌
영어의미역 Song of Responses between Wife’s Younger Brother and Elder Sister’s Husband
이칭/별칭 「처남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북구 구포동
집필자 류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구분 가창 유희요
형식구분 독창|제창
가창자/시연자 이소전[여, 78]|하쌍선[여, 81]
채록 시기/일시 1991년 7월 13일 - 이소전[여, 78]
채록 시기/일시 1999년 9월 17일 - 하쌍선[여, 81]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2월 28일 - 류종목 저,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수록
채록지 대항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채록지 구포 할머니 경로당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대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대항 마을북구 구포동 대리 마을 등지에서 어울려 놀면서 부르는 유희요.

[개설]

「처남·자형 화답가」부산광역시 일대에서 어울려 놀 때 흥을 돋우기 위해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처남·자형 화답가」의 사설은 자형이 처남에게 누이가 뭘 하고 있더냐고 묻자 처남은 누이가 자형이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는데, 처남의 말과는 달리 누이는 기다리지 못하고 이미 중이 되어 떠나가고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1년 7월 13일 부산대학교 조사팀이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대항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이소전[여, 78]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또한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도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9월 17일 동아대학교 조사팀이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대리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하쌍선[여, 81]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처남·자형 화답가」는 처남과 자형의 문답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창 유희요로 제창이나 독창으로 불린다.

[내용]

제보자에 따라 사설의 내용이나 노래의 길이에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사설은 다음과 같다.

서울이라 반지경에 장기두던 처남손아/ 너에누부 뭣하더노/ 입던적삼 등박더나 신던보선 볼걸더나/ 입던적삼 등안박고 신던보선 볼안걸고/ 동지섣달 긴긴밤에 자형오기 기다리/ 애중일사 너거누부 남중호걸 날마다고/ 여덟폭 치마따서 한폭은 고깔짓고/ 한폭은 바랑짓고 남중호걸 날안맞고/ 깎고깎고 머리깎고 신중되어 나갔단다[대항 마을 이소전의 노래].

* 누부: 누나/ 애중일사: 여중일사(女中一士).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처남·자형 화답가」는 부산 지역 민중들이 바쁜 일상을 벗어나 여가를 즐기는 공간에서 불렀던 것으로, 노래로써 삶의 여유를 즐기는 민중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현황]

유희요는 노동요나 의식요 등에 비해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에 큰 변화가 없다. 그래서 「처남·자형 화답가」는 본래의 모습을 잘 유지하면서 전승되고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처남·자형 화답가」는 가족 관계와 남녀 간 애정의 한 단면을 보여 주는 노래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