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선창 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473
한자 戰船廠-
영어의미역 Site of Jeonseonchang
이칭/별칭 주사창 터,전선창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윤용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적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29년 - 두모포 만호영을 부산포로 옮김
소재지 전선창 터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동쪽 바닷가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던 조선 시대 전선을 정박시키던 곳.

[개설]

대변 동쪽 바닷가에 전선창(戰船廠) 터라는 이름이 전한다. 주사창(舟師廠)이라고도 하는데, 전선창은 수군(水軍)이 전쟁 때 쓰는 전선(戰船)을 정박시키던 곳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바로 이웃 죽성리(竹城里)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 휘하의 두모포 만호영(斗毛浦萬戶營)이 있었다. 두모포 만호영은 1629년(인조 7)에 부산포로 옮겼다가 1680년 현재의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으로 옮겼다.

『기장읍지(機張邑誌)』[1899]의 진보(鎭堡)조 주사(舟師), 곧 수군에 관한 기록에 “기장현 남쪽 7리[약 2.75㎞] 되는 곳에 수군 대장(代將) 1명, 선장(船將) 1명, 병선감관(兵船監官) 1명, 군기감관(軍器監官) 1명, 선직(船直) 1명이 관할하던 전선 1척, 병선(兵船) 1척, 사후선(伺候船) 2척이 배치되었다”라고 전한다. 조선 후기 기장 대변의 전선창에 얼마간의 수군과 전선을 배치하여 방비에 임한 것으로 보인다.

[위치]

전선창 터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동쪽 바닷가에 있다.

[현황]

지금은 부산 지역 멸치 어업의 중심인 대변항으로 개발되어 사라졌다.

[의의와 평가]

전선창 터는 조선 시대 부산 지역의 진관 체제와 수군 만호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