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61
한자 大邊港
영어의미역 Daebyeon Harbor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남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항
면적 810m[방파제]|919m[물양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1년 12월 21일연표보기 - 1종 어항으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시설 정비 계획 수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환경 영향 평가 실시, 동방파제 공사 착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시설 계획 및 어항 구역 변경 고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국가 어항으로 항종 명칭 변경, 남방파제 공사 착수
최초 설립지 대변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지도보기
현 소재지 대변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국가 어항.

[개설]

대변항은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정·개발하는 국가 어항이다. 국가 어항은 1971년 최초로 62개 항을 지정하여 개발에 착수한 이후 110개 항을 지정하여 개발 중이다.

[건립 경위]

대변항은 조선 시대부터 포구가 발달한 지역이었는데, 1971년 12월 21일 1종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기장군은 어업 인구 3,000여 명으로 부산광역시 총 어업 인구의 31.7%에 해당하며, 19개의 어촌계가 구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이에 대변항기장군의 어업 전진 기지로 조성하고자 국가 어항으로 지정하였다.

[변천]

1993년 시설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1995년 환경 영향 평가를 실시하면서 동 방파제 공사를 착수했다. 2000년에는 시설 계획 및 어항 구역 변경 고시가 이루어졌고, 2001년 국가 어항으로 항종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남 방파제 공사가 착수되었다. 2009년 9월 14일 어항 기본 계획이 변경 고시되어 주변 시설을 개선하였다.

[구성]

대변항은 동 방파제 550m에 남 방파제 260m로 총 방파제 810m이며, 물양장 919m에 호안 809m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양장 40m, 멸치 털이장 120m, 보도 교량 65m, 친수 공간 1식, 부대시설 1식이 있다.

[현황]

대변항기장군 기장읍 대변리동해남해가 만나는 곳에 위치한 항구이다. 관리청은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이며, 시설 관리자는 기장군수이다. 2013년 현재 관광 기능이 겸비된 다기능 어항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변항의 접안 능력은 약 312척[10톤 기준]이다.

대변항은 특히 전국 멸치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국내 최대의 멸치 산지로 멸치회를 맛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에 대변항에서 어획한 수산물을 중심으로 대변리 해안을 따라 멸치회, 장어구이를 전문으로 하는 횟집들이 즐비하다. 매년 4월 말에서 5월 초 봄 멸치 성어기에는 대변항을 중심으로 멸치회 무료 시식회, 멸치 털기 체험 등의 즐길 거리가 풍성한 기장 멸치 축제가 열린다. 또한 기장의 유일한 섬인 죽도 주변에서 채취하는 미역의 산지이기도 하다. 인근 관광지로는 죽도해동용궁사 등이 있으며, 옛 어항의 풍경이 잘 보존되어 있어 영화 「친구」 촬영지로도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