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421
한자 魚山禊補寺有功碑
영어의미역 Monument for Eosangye Bosa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유공비
재질
크기 221.5㎝[전체 높이]|71.5㎝×205㎝×37.5㎝[비신]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건립 시기/일시 1913년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1913년 범어사의 어산계 활동을 기록하여 세운 비.

[건립 경위]

1913년 범어사의 승려들이 어산계(魚山稧)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경비로 모두 2,370원을 내어 대웅전의 기와를 다시 하고, 명부전과 팔상전을 중수하며 용화전의 단청을 하였다. 그리고 범어사 원효암범어사 안양암에 대한 보조와 『정법안장(正法眼藏)』을 찍고 각 포교당에 지원을 하고 어산교를 세우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 같은 활동을 기록하여 어산계 보사 유공비(魚山禊補寺有功碑)를 세웠다.

[위치]

어산계 보사 유공비범어사 경내 어산교 바로 앞에 있다. 주소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번지이다.

[형태]

비석의 형태로 전체 높이는 221.5㎝이다. 비신(碑身)은 가로 71.5㎝, 세로 205㎝이다.

[금석문]

앞면에는 ‘어산계 보사 유공비’라고 한자로 쓰여 있고 뒷면에는 다음과 같이 새겼다. “금 삼백원 대웅전 반와(金三百圓大雄殿㽃瓦) 금 사십원 명부전 중수(金四十圓冥府殿重修) 금 일백사십원 팔상전 중수(金一百四十圓八相殿重修) 금 오십원 용화전 단청(金五十圓龍華殿丹靑) 금 육십원 원효 안양 양암 보조(金六十圓元曉安養兩菴補助) 금 사십원 정법안장 인쇄(金四十圓正法眼藏印刷) 금 팔백원 동래교당 보조(金八百圓東萊敎堂補助) 금 이백원 경성포교당 보조(金二百圓京城布敎堂補助) 금 사백원 경북교당 보조(金四百圓慶北敎堂補助) 금 사백사십원 어산교 건립(金四百四十圓魚山橋建立) 합 금 이천삼백칠십원야(合金二千三百七十圓也) 대정 이년(大正二年) 계축(癸丑) 불기 이구사0년(佛紀二九四0年) 감무 일담 계환(監務一淡桂煥) 감사 일해 치화(監事 一海致和) 법무 이산 원오(法務 梨山爰㻍) 도감 만산리운(都監晩山理云).”

[의의와 평가]

범어사는 조선 후기부터 사찰 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사찰이었다. 사찰 계 가운데 갑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기타 여러 형태의 계가 존재하였다. 어산계 보사 유공비는 그 가운데 어산교를 세우기 위해 계를 조직한 것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