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333
한자 圓應禪社
영어의미역 Woneungseo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선원
건립 시기/일시 1909년 1월 20일[음력]연표보기 - 개설
최초 건립지 원응선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현 소재지 원응선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 소속 사찰.

[개설]

개항기 우리나라 불교계는 선방(禪房)을 중심으로 인재 양성과 중생 교화, 그리고 신풍(新風)을 진작시켜 한국 불교의 주체성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범어사(梵魚寺)에서도 주지 오성월경허 대사범어사로 초청하여 선풍의 진작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후 범어사금강암(金剛庵)[1899]을 시작으로 많은 선원을 개설하였다.

[건립 경위 및 변천]

원응선사(圓應禪社)는 1909년 음력 1월 20일 개설되었다. 발기인은 이담해와 오성월로, 기한은 영구이다. 참가 승려는 20인이며, 선량(禪糧)은 75석(石)이었다.

[활동 사항]

선원은 강원의 사교과(四敎科), 대교과(大敎科)를 수료하고, 비구계를 받고 들어가 공부하는 곳이다. 선원에서는 규칙[禪院淸規]을 정하여 엄격하게 수행하였다. 범어사 승려들은 하루 참선 8시간, 경학(經學) 8시간을 공부하며 다른 선원과 달리 선교일치적(禪敎一致的) 입장을 취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범어사 승려들은 선학(禪學)을 깊이 있게 이해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의 선원 개설은 개항기 일본 불교의 유입에 맞선 우리나라 불교의 회복 운동인 ‘선풍 진작 운동’의 일환이었다. 범어사는 일련의 선사를 개설하면서 선찰 대본산(禪刹大本山)으로서의 위상을 가질 수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