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143 |
---|---|
한자 | -基礎農産物輸入開放沮止釜山市民非常對策委員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214번길 3-2[초량동 1200-1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성우 |
[정의]
1993~1994년 식량 주권 수호 운동을 전개한 범시민 단체.
[설립 목적]
쌀과 기초 농산물 수입 개방 저지 부산시민비상대책위원회는 쌀과 기초 농산물에 대한 미국의 부당한 수입 개방 압력에 맞서 식량 주권을 지키고 농민들의 생존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93년 5월 우루과이 라운드[UR] 반대 운동을 수행하던 중 민주주의민족통일 부산연합의 제안에 부산경제정의실천운동연합, 부산환경운동연합,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등 60여 개 단체들이 호응하여, 12월 8일 결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93년 12월 10일 부산역 광장에서 ‘쌀 시장 개방 반대 부산 시민대회’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미국 영사관 항의 방문, 규탄 대회, 걷기 대회, 시민 공개 토론회, 서명 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한편으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래구, 북구, 연제구에 구별 대책 위원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94년 쌀과 기초 농산물 수입 개방 국민 투표 실시, 국회 비준 거부, 재협상 요구 운동으로 활동을 다변화하였다.
[현황]
1994년 12월 해체하였다.
[의의와 평가]
미국의 수입 개방 압력이 경제적인 침략 행위라는 인식을 공유하게 됨으로써, 농민의 생존권과 식량 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시민 사회 진영이 광범하게 참여하여 시민적 동의를 얻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미국의 수입 개방 압력에 굴복하려는 정부를 압박하여, 부족하지만 WTO 이행 특별법을 제정토록 하였고, 쌀 시장에 대한 개방 기한을 연기하는 정도의 한정적인 성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