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976 |
---|---|
한자 | -民間療法 |
영어의미역 | Treatment of Producing More Breast Milt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기장군 |
집필자 | 황경숙 |
[정의]
부산 지역에서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 민간에서 조치하는 방법.
[개설]
출산 후 산모의 젖이 잘 돌게 하는 처방은 흘러내리는 시냇물과 물이 잘 나오는 샘물을 이용하여 젖이 잘 나오라고 행하는 민간요법이다. 예를 들며, 산후(産後)에 젖이 잘 나지 않을 때는 젖을 짜서 굴뚝에 붓는 것과 같이 유사 연상 사고에서 나온 주술적 치료 방법이다
[내용]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조리 마을·죽전 마을에서는 세 갈래로 흘러내리는 시냇물을 병 두 개에 담은 후 병을 양쪽 앞으로 오게 하여 목에 걸고 내려와 그 물을 먹거나 골짜기의 물을 길어 와서 두 병에 나누어 담아 목에 걸었다가 “아이구 젖 많다.”라 외치며 양쪽 젖 위에 붓는다. 기장군에서는 이른 아침 물동이 두 개를 들고 맑은 샘에 가서 물을 떠와 “젖 판다.”라 외치면 며느리가 “젖 산다”라고 말하고 그 물을 제왕판에 얹어 놓고 삼신께 빈다. 한편, 금정구 금성동 산성 마을에서는 돼지 족발을 고아 산모가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