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848 |
---|---|
한자 | 釜山繁榮會 |
영어의미역 | Busan Cooperativ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전성현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 있었던 일본인 청년 단체 연합체.
[설립 목적]
부산번영회는 개항 이후 이른 시기부터 부산으로 건너와 독자적인 일본인 사회를 구성한 일본인 관민 유력자들이 1906년 ‘부산 번영’에 관한 사항에 대해 공구하며 그 실행을 촉구한다는 목적으로 부산항에 설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번영회는 부산의 번영에 관한 사항을 공구하며 그 실행을 촉진한다는 목적 아래 통상 회원과 명예 회원을 두고 매월 25일 월례회를 개최하여 부산의 각종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긴급한 논의가 필요할 경우에는 임시 개회도 가능하였다. 회원은 통상회원과 명예회원이 있었는데, 통상 회원은 번영회의 취지에 찬동하면 입회할 수 있었고, 명예 회원은 학식 또는 훈로(勳勞)가 있거나 번영회의 취지에 찬동하는 자로 번영회에서 추천한 자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그 인적 구성이 매우 다양하였고, 대체적으로 부산의 관민 유력자를 모두 망라한 조직으로 볼 수 있다. 그 구성원들은 부산상업회의소 의원과 부산거류민단 의원은 물론 부산의 각 기관 간부들과 관공리도 포함되었고, 심지어 청국과 영국 영사, 인천이나 성진 등의 관리들도 회원에 포함되었다. 다만 조선인은 철저히 배제되어 있어 이 단체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부산번영회는 일본인들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산번영회는 부산의 일반적인 편익을 도모한다는 명목 하에 기성 사업 또는 공사 기관의 시설 경영 등을 발의, 제창하기도 하였다. 그렇기에 부산번영회는 부산항 내 유력 계층 간의 친목 도모 단체로도 보이지만, 특정한 부산의 문제에 대해서는 유력한 압력 단체로도 활약했던 것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로 들어가면 부산의 자치 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부 협의회[부산부회], 부산상업회의소[부산상공회의소], 부산학교조합 등 여러 단체들이 설립되었기 때문에 압력 단체로서보다는 친목 도모 단체로 전락하였다.
[현황]
부산번영회는 1906년 설립되어, 일제 강점기에도 당분간 존속하였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1908년 회원 명부 밖에 남에 있지 않아, 이후의 회원이나 활동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부산번영회는 일제 강점 이전 부산항의 유력 일본인들의 이익 단체이므로, 이들의 면면과 활동을 살펴보면, 병합 전후 식민주의의 실체와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