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685 |
---|---|
영어의미역 | Miscellaneous Songs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집필자 | 신주영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재송 마을에서 범벅을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개설]
「범벅타령」은 정월부터 섣달까지 달마다 열두 가지 범벅 이름을 주워섬긴 데서 생긴 이름으로, 경기 잡가에서 유래하여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가창 유희요[비기능요]이다. 열두 달에 맞춰 범벅을 만든다는 「범벅타령」에는 외간 남자와 사통하다가 남편에게 들키는 내용이 함께 엮여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의 257~258쪽에 「범벅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공저자들이 1991년 7월 1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재송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임주[여, 82]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범벅타령」은 독창으로 가창되는 2음보 연속체 민요이다. 각 달의 마지막에 “둥글둥글 범벅이야”라는 후렴이 붙는다. 가사는 각 달마다 각각의 범벅을 만드는 일과 세시 풍속이나 계절의 특징적인 풍경 등을 연결시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정월이라 달떡범벅/ 자손을 주소 명복을 주소/ 일월성신 달떡범벅/ [후렴] 둥글둥글 범벅이야/ 이월에는 영동범벅/ 사해창생 뜨신 낭군/ 염포갔던 우수범벅/ [후렴][중략]/ 동지에는 팥죽범벅/ 노인잔치로 벌여놓고/ 고불고불 짝대기에/ 이가빠졌다 팥죽범벅/ [후렴]/ 섣달에는 흰떡범벅/ 요귀사귀를 다몰아내고/ 신년새해 막죽범벅/ [후렴].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범벅은 팥이나 호박 등을 찌거나 삶아 으깨서 죽처럼 만들어 먹는 음식이다. 재송 마을에 전승되는 「범벅 타령」에 등장하는 재료는 옥수수, 쑥, 칡, 밀, 호박, 수수, 귀리, 팥 등으로 일반적인 재료들이다. 실제로 호박범벅은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에서, 그리고 밀범벅은 전라도 지역에서 먹는 등 지역마다 주로 사용하는 재료에 차이가 있다.
[현황]
「범벅타령」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비기능요로 유희적인 목적에서 가창되었다. 지금은 나이가 지긋한 노인층을 중심으로 면면히 전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재송 마을의 「범벅타령」에는 다른 지역의 「범벅타령」에서 보이는 외간 남자와 사통하는 내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각 달마다의 세시 풍속과 계절적인 특징 등을 나타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월 대보름에는 달보고 소원 빌기, 영등할머니 제사, 단오에 머리 감기, 섣달의 팥죽 먹기 등의 세시 의례와 호박이 지붕 위에 영근 모습, 가을의 낙엽이 지는 모습 등 계절의 특징적인 풍경을 노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