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221 |
---|---|
한자 | 栽松洞 |
영어의미역 | Jaeso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4.16㎢ |
가구수 | 26,157가구 |
인구(남, 여) | 62,867명[남 30,819명|여 32,048명]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동래군 남면 재송리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동래군 남면 재송리에서 부산시 수영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3년 - 부산시 수영출장소 재송동에서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에서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0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으로 개편 |
법정동 | 재송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재송(栽松)이란 지명은 조선 시대에 이곳에 있던 재송포(栽松浦)와 관련이 있다. 이곳은 수영강과 온천천이 합류하는 곳으로 여기까지 배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 이곳에 소나무가 울창하여 지명이 유래되었으며 일명 송수촌(松樹村)이라 부르기도 했다.
[형성 및 변천]
재송동(栽松洞)은 조선 후기 동래군 동하면(東下面) 재송포에 해당하고, 1914년 동하면 재송동과 동상면 후동이 합쳐 남면 재송리가 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 관할로 개편되었다가, 1953년 해운대출장소가 설치되면서 그 관할이 되었다. 1957년 1월 구제 실시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0년 4월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고, 1991년 재송 1동과 재송 2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재송동은 해운대구의 서부에 위치하여 동쪽과 남쪽은 우동, 북쪽은 반여동과 접한다. 동쪽은 장산[634m]을 중심으로 남동쪽으로 이어진 산줄기가 있으며, 장산 산록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서쪽으로 흘러 수영강에 유입한다. 북서쪽에는 수영강과 온천천이 합류하며 이 일대는 평지가 나타난다. 서쪽은 수영강 하류에 연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4.16㎢이며, 인구는 2만 5,575가구에 총 6만 11명으로 남자가 2만 9,275명, 여자가 3만 736명이다. 서쪽 산록에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쪽의 수영강과 나란히 강변로와 충렬 대로, 동해 남부선이 달리고 있다. 수영강에 수영구와 연결되는 과정교와 수영 3호교가 건설되면서 교통이 편리해졌다. 관내에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등의 법조 기관이 있다. 자연 마을로 재송 마을과 뒷골 마을이 있으며, 행정동은 재송 1동과 재송 2동으로 나누어져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09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0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9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4.16㎢이며, 인구는 2만 6,110가구에 총 6만 4,184명으로 남자가 3만 1,485명, 여자가 3만 2,699명이다 |
2020.05.26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4.16㎢이며, 인구는 2만 5,877가구에 총 6만 5,652명으로 남자가 3만 2,182명, 여자가 3만 3,470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